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5. 솔리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줄이기가 힘들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이 문제에 도전하고 있어서
곧
해결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용어설명메이저 : 간섭성이 높고 일정한 위상을 가진 마이크로파를 만드는 증폭기로서 레이저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플라스마 : 양전하를 띤 입자 집단과 같은 크기의 음전하를 ... ...
2. 중력자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만든 '민코브스키 메트릭'으로 주어진다. 시공간 메트릭과 민코브스키 메트릭의 차이가
곧
중력 포텐셜에 해당한다.중력장이 아주 세지 않은 경우, 아인슈타인 장방정식은 파동해(波動解)를 수용한다. 이 파는 빛의 속도로 전파된다. 이는 중력자의 정지질량이 영(0)임을 의미한다.또한 맥스웰 ... ...
Ⅰ. ①두뇌: 남자 좌우 뇌 차이 크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것이고 회복도 더 잘될 것이다(이 현상은 실제로 임상에서 관찰되고 있다). 결국 여성은
곧
회복돼 정상적으로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종보존’의 차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더 쓸모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여성 뇌의 기능은 여러 곳에 분산돼 보호되는 것 같다.둘째 뇌의 기능을 ... ...
Ⅰ 최면, 무의식에 이르는 길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48시간 동안 '실험'이란 말만 들으면 몸을 긁게 될것이다. 그리고 지금 이말을 들은 것은
곧
잊어버리게 될 것이다"는 암시를 주었다.그 결과 최면이 깊게 걸린 사람들은 실험이 끝났다는 말을 들은 후에도 48시간 동안은 계속 긁어댔다. 최면이 끝났지만 최면에 깊게 걸렸던 사람들의 무의식에는 몸을 ... ...
1. 프랑스혁명이 탄생시킨 미터법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새로운 혁명력이 특정한 문화를 반영하지 않는 보편적인 달력이 됐다고 만족해 했다.
곧
10진법에 따라 추가 움직이는 시계가 만들어져 아카데미 회원을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사용됐다. 라부아지에도 그 중의 하나를 갖고 있었다.그러나 이러한 시간의 10진화는 다른 국가와 정보를 교환하는데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것 같다. 영화관이나 연주회장에 가서 스피커 가까이 앉게되는 경우 처음에는 괴롭지만
곧
익숙해진다. 그러나 이것은 큰 소리에 익숙해지는 것이 아니라 귀가 상하고 있는 과정이다.우리가 소음으로 분류하는 것들은 큰 음악소리보다도 귀에 해로울 수 있는데 이는 갑자기 큰 에너지를 가진 소리가 ... ...
1. 달에 물이 있다면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달표면을 검색한 결과 북극에서 3.4%의 신호를, 남극에서 2.2%의 신호를 감지했다. 이것은
곧
물(추운 곳이기 때문에 얼음의 형태)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중성자 분광계는 0.01%의 얼음도 발견할 수 있을 만큼 성능이 우수하며, 땅밑 0.5m 속의 얼음도 발견할 수 있다고 이를 만든 ... ...
수학이 쉬워지는 비결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a, b, c가 대등하므로 a에 대해서만 계산해 보면 된다. a²의 항은 4a²이고 a의 항은 0이다.
곧
a를 포함하는 항은 4a²뿐이다. 마찬가지로 b, c를 갖는 항은 각각 4b², 4c²뿐이다. 따라서 주어진 식은 4(a²+b²+c²)이다.이런 문제를 막무가내로 계산을 되풀이하다 보면 언젠가 정답에 이를 것이라고 생각하는 ... ...
중세) 영원히 멈추지 않는 꿈의 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위대한 발명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도 영구기관을 만들려고 시도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곧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다음과 같은 탄식의 말을 남겼다. “아! 영구운동을 희롱하는 공상가들이여… 어찌하여 그렇게 덧없는 시도를 많이 했는가?”하지만 영구기관에 대한 발명가들의 열정은 좀처럼 식을 ... ...
절반의 행복 잃어버린 독일과학의 수호자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과학 행정과 관련된 여러 요직을 차지한 플랑크는 독일 과학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그는
곧
베를린 대학의 영향력 있는 물리화학자 네른스트와 의논해 아인슈타인에게 카이저 빌헬름 물리 연구소 소장직을 제안했다. 사실 이것은 매우 파격적인 인사였다. 플랑크는 아마 아인슈타인 같이 훌륭한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