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면적 안에서 무한한 둘레를 갖다니! 정말 신기하죠? 제가 소개한 프랙털 외에도 다양한 모양의 프랙털을 만들 수 있어요. 이번 크리스마스엔 캐롤을 들으며 나만의 프랙털 트리를 만들어보세요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아토피 등 건강상의 이유나 종교적인 이유로 채식을 하던 과거에 비해 최근 훨씬 다양한 계층에서 채식 인구가 늘어난 이유는 무엇일까요?그 전에 먼저 채식주의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야 해요. 채식주의는 단순한 식습관이 아니라 식물성 위주의 식사를 기본으로 하면서 가죽, 양모, 오리털, 동물 ... ...
- [수학체험실] 튜브야 내 몸을 부탁해~ 토러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지켜줄 튜브의 크기는? 물놀이를 즐기거나 해난 구조를 할 때 사용하는 튜브는 크기가 다양하다. 보통 6~7세는 지름이 60cm인 튜브를 사용하며, 초등학교 5, 6학년까지는 75cm, 중학생 이상이 되면 81cm 이상의 튜브를 사용한다. 나이가 들수록 튜브의 크기가 커지는 이유는 몸무게 때문인데, 알맞은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높이가 10m나 되는 KSTAR의 규모에 입이 떡 벌어졌다고 합니다. 핵융합 상용화에 필요한 다양한 첨단 기술도 조사했습니다. 슈퍼컴퓨터,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등을 취재했는데, 핵융합 에너지와 크게 관계없어 보이는 기술들이 모두 융합돼 핵융합 발전을 완성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유두호 ... ...
- [한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조직에 골고루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산소를 방출하는 생체 물질을 더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됐지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어렵거나 과산화수소처럼 세포 독성을 띠는 활성 산소가 함께 나오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장 교수팀은 광합성으로 스스로 산소를 생성하는 녹조류의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에볼라, 사스(SARS), 신종 인플루엔자 등이 대표적인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11월 4일 생물다양성 과학기구(IPBE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발견되지 않은 바이러스는 약 170만 종이다. 주로 포유류와 조류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최대 82만 7000종의 바이러스는 사람에게도 전염된다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핵융합은 그야말로 ‘꿈의 에너지’다. 다양한 종류의 친환경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친환경 에너지가 인류에게 충분한 양만큼 에너지를 뽑아내려면 기어이 환경을 훼손하고 만다. 핵융합은 제한된 장소에서 주변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을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예측 대회에 함께한 팀원 중에는 커뮤니티를 통해 처음 알게 된 사람들도 있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연구하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사실 AI 전문가라고 하면 정보통신(IT) 기업에 소속된 사람을 떠올리기 쉽다. 에너지 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과는 조금 거리가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공격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친밀감을 높이거나 자신이 속한 집단을 설득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실제로 설득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006년 코리 셰어 당시 미국 노던일리노이대 심리학과 연구팀(현재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은 실험 참가자 88명에게 ‘등록금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구리 합금을 만드는 방법도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다층 그래핀을 반도체나 회로 등 다양한 소자에 적용하면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물리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필자를 포함한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은 이렇게 다층 그래핀에서 특이적인 현상을 관찰하는 연구 또한 앞으로 계속 해나갈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