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용 빈도가 낮은 색이다. 사람 들은 초점색을 더 정확히 기억한다.인도네시아의 원시
부족
다니족은 모든 색을 ‘몰라’와 ‘밀리’라는 두 어휘로 표현한다. 몰라는 주 로 밝고 따뜻한 색이고 밀리는 어둡고 차가운 색이다. 초점색과 비초점색을 구분하기 위한 어휘 수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마그네슘 권장량의 1/3 정도에 해당하는 양이다.간혹 미네랄을 균형 있게 섭취하기 위해
부족
한 미네랄을 약으로 따로 섭취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미네랄은 다른 영양소와 달리 몸이 필요로 하는 농도와 독성을 보이는 농도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복용할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또한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설상가상으로 대회 당일엔 하늘에 구름이 많아 참가한 모든 솔라보트가 배터리가
부족
한 상황이었다.대회 결과는 참담했다. 출전한 7팀 중에서 완주한 팀은 겨우 2팀. 대부분 경기 초반에 속도를 내다가 에너지를 전부 소비한 탓이었다. 그러나 솔라포디엄팀은 39분 17초 12의 기록으로 2위와 1 ... ...
팔방미인 과학실험 장비 ‘HBL’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얼마나 들었을까. 내가 책상 앞에만 앉으면 꾸벅꾸벅 조는 이유는 방 안의 공기에 산소가
부족
하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은 아닐까.이 모든 궁금증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과학 실험 장비가 새로 나왔다. 주식회사 코리아디지탈이 내놓은 ‘HBL(Home Based Laboratory)’은 언제 어디서나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잡아먹는다. 배가 고프면 왕왕 제 꼬리를 잘라 먹는다.”실제로 어부들 중에는 미끼가
부족
할 때 갈치 꼬리를 잘라 쓰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게걸스런 식성 때문인지 갈치에 대해 별로 호의적이지 않은 소문이 떠돌기도 한다. 사람이 물에 빠지면 제일 먼저 달려드는 것이 갈치라느니 갈치를 먹다가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는 에너지가 적다. 엔진의 힘을 빌리지 않고 모터로만 달리려면 니켈수소전지로는 역
부족
이라는 얘기다. 현재까지 나온 결과에 따르면 대체로 같은 용량일 경우 리튬이온전지는 니켈수소전지에 비해 무게를 절반, 부피는 20~50% 줄일 수 있다. 역으로 짚으면 니켈수소전지가 덩치는 크지만 능력은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박사는 “어린 새들은 다른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듣고 모방을 하는데, FOXP2 단백질이
부족
한 녀석들은 이 일을 제대로 못했다”며 “KE 가계의 유전자 결함이 있는 아이들이 보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길을 걷다 아름다운 새소리가 들리면 나도 모르게 ‘FOXP2’란 단어가 떠오르며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제 우리사회가 토목에 대한 시각을 바꿔야 할 시점에 왔다고 강조했다.즉 지금까지는
부족
한 도로나 교량 같은 시설을 설계하고 만드는 데 노력을 집중했는데, 이제부터는 기존의 시설을 좀 더 잘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 즉 1970년대 사실상‘제로’에서 출발해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 있다. 풍력이나 태양광이풍부해 발전량이 많을 때는 전기료를 낮췄다가 발전량이
부족
해지면 전기료를 올려 공급과 수요가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다.물론 신재생에너지는 현재의 발전 방식과 상호 보완해 추진한다는 게 한국과 세계 각국 정부의 일반적인 방침이다. 바람이 세게 불면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존재하는 수분까지 다 합쳐도 3%에 불과하죠. 그러니 바닷물만 잘 이용할 수 있다면 물
부족
문제가 한 번에 해결되지 않겠습니까?”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노력은 예전부터 있었다. 특히 해수를 끓이면 나오는 수증기를 모아 담수를 얻는 ‘증발’ 방식은 이미 한국이 세계 1위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