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때 생성되는 구름의 규모는 10~20km 정도로 작다. 이미 많은 비를 뿌려 수분량이
부족
한 장마전선 곳곳에 소규모의 비구름이 생성되면서 국지성 호우가 쏟아진 것. 게다가 중국 쪽에서 형성된 저기압도 확장하면서 장마전선에 수분을 공급했다.윤원태 과장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여름철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탈수를 막는 수액을 공급하고, 간에서 만드는 단백질인 알부민이나 혈액응고인자가
부족
해지지 않도록 보충해주는 정도다. 그래서 더욱 예방이 중요하다.현재 A형간염 백신은 필수가 아니라 권장예방접종으로 분류돼 있다. 최근 전문가들 사이에서 A형간염을 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순전히 농사 경험만으로 말이다. 물론 농업 생산성도 인구 증가에 비해 식량이 턱없이
부족
할 거라는 영국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의 예측을 비웃을 정도로 엄청나게 향상됐다. 인류를 대기근에서 구출한 건 다름 아닌 육종기술이다.녹두 신품종으로 연 1억 달러 이득1974~1981년 필자는 대만에 있는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때 호르몬(지베렐린)을 뿌리기도 한다. 그러면 다 익은 것처럼 몸집은 커지지만 당도가
부족
해 맛이 별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종한 품종 중 하나가 ‘원황’이다. 빨리 익고 육질이 좋은 일본 품종 2가지를 교배한 다음, 우리 풍토에 잘 적응한 개체를 선발한 결과다. 이 같은 육종 덕분에 ... ...
좀비PC앞세운 디도스 공격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데이터를 일거에 쏟아내는 데 있다. 그러자면 특정 공격자가 다루는 한 대의 컴퓨터로는
부족
하다. 공격자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협력자 또는 하수인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그래서 필요한 것이 좀비 PC다. 일반 사용자의 PC에서 ‘영혼을 빼앗아’ 공격자 마음대로 부릴 수 있는 PC야말로 가장 ... ...
2010 대입 입학사정관제 2만 695명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2탄-여름방학 특집편’을 오픈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여름방학 동안 인터넷 강의를 통해
부족
한 학습을 보충하고, 내신과 수능 준비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모의고사 무료’ ‘수강기간 연장’ ‘신규강좌 20%할인’ 등 다양한 혜택으로 구성돼 있다. 문의 1544-739 ... ...
연세대 수시 2-1: 구술에서 논술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힘을 발휘하는 것은 뜻밖에도 지구력이다. 치열하게 고민하는, 과제에 대한 집착력은
부족
한 창의력을 충분히 보상해 준다. 다만 내용상 논리적 관계에는 억지가 없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표현력을 평가한다. 전체적인 구성 능력,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력, 맞춤법 등을 평가한다. 자연계 논술은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우유보다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알에서 깬 직후의 새끼는 소화능력이
부족
해 애벌레나 곡식을 잘 먹지 못하기 때문에 어미가 젖으로 고단백 영양을 공급해준다는 뜻이다. 이렇게 자란 새끼는 20일이면 성체가 된다.인체 유해 여부는 미확인‘유해’ 야생동물이라고 하니까 마치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명시한 학교로 구분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정시나 수시로 들어가기에는 성적이 약간
부족
한 수준의 대학과 전공을 목표로 삼으라고 조언했다.지난해 건국대에서는 학생부 성적이 4.5등급인 학생이 국사에서의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아 수능 평균 합격선이 1.5~2등급인 학과에 입학한 바 있다. 이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물
부족
국가라기보다는 물 관리를 잘 못하는 국가이며 빗물만 잘 관리해도 물
부족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 다음으로 저자는 실제로 빗물을 어디에 이용할 수 있는지 그 예를 보여준다. 특히 대도시에서 지하수가 고갈되거나 하천이 마르는 문제, 축사나 대학 캠퍼스에서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