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분포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잘 알려져 있듯, 평균값은 어떤 분포의 통계적 특성을 대표하지 못한다. 아인슈타인의 우주원리에서 말하는 공간적 균일성 외에, 물질이 분포할 확률밀도함수가 우주 어디에서나 같다는 ‘통계적 균일성(코페르니쿠스 원리)’ 개념도 있는데, 이런 방법으로는 통계적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떨어진 인도양 한 복판, SUMA-11C지점(동경 91°36’, 북위 3°2’, 수심 약 4.2km)이었다. 이곳은 대표적 지진대 중의 하나인 ‘순다 해구(Sunda Trench)’에서 서쪽으로 약 250km 떨어져 있다. 지진은 주로 두 개의 지각판이 서로 부딪히는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순다 해구는 미얀마 지각판과 인도-호주 지각판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질서를 유지시켜 주는 동물을 ‘핵심종’이라고 불러요. 수달은 우리나라 생태계의 대표 핵심종이랍니다. 수달을 지키는 것이 곧 생태계를 지키는 일인 거예요.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 사는 수달은 자동차에 치이거나 그물에 걸려 죽는 경우가 많아요. 천적이 없는 수달에게 ‘사람’이라는 강력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어요. 이 안에서 수많은 종류의 구성 요소들이 상자 밖의 인형을 움직이고 있거든요. 대표적인 구성 요소로 기어, 캠, 크랭크, 링키지, 풀리, 레벨 등이 있답니다.이중 기어는 원판 모양의 회전체에 달린 돌기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 운동의 방향이나 속도를 바꿀 수 있는 장치예요. 한 회전체의 ... ...
- [찰칵 퍼즐 여행] 제주도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새해에는 퍼즐을 풀며 멋진 여행지로 떠나보려 해. 처음으로 가볼 곳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제주도야. 앗, 그런데 여러분이 수행할 미션이 하나 있어. 바로 첫 번째 퍼즐부터 네 번째 퍼즐까지 풀고, 각 퍼즐에 표시된 ○△◇에 해당하는 숫자를 (○+△)÷◇-과 같이 계산한 숫자가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땅을 긁는 구애 행동은 오늘날 우리 주변에 살고 있는 새들에게서 볼 수 있어요. 대표적인 동물은 물떼새예요. 물떼새는 땅에 알 둥지를 만들어요. 아크로칸토사우루스처럼 발톱으로 땅바닥을 긁지만, 이렇게 긁어 만든 구덩이를 알 둥지로 사용하지는 않아요.생태학자들은 이 행동을 수컷들의 구애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페르미 추정은 흔하게 쓰인다”고 말했다.원 교수는 자신이 페르미 추정을 활용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레이놀즈 수를 들었다. 레이놀즈 수는 흐르는 물질(유체)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이다. 만약 유체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안에서 흐르고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은 현실세계와 가상현실을 합치는 것으로, ‘포켓몬고’ 게임이 대표적인 예다.한계도 있다. 아직까지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의도를 정확히 추정하고 파악하지 못한다. 픽셀 격자가 보일 만큼 해상도가 떨어지고, 완벽하지 않은 영상기술과 광학기술 때문에 색수차와 영상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소속입니다. 항성 핵융합 이론 연구가 장 오두즈, 은하 진화 이론분야의 미셸 피옥 등이 대표적입니다.물론 관측 연구도 소홀히 하지 않습니다. IAP 건물 옥상에 있는 천문대를 사용하는 건 당연히 아니고요(지어진 지 50년이 넘었습니다). 칠레에 있는 초거대망원경(VLT)과 유럽남부천문대(ESO),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가장 위대한 사상가 가운데 하나”라고 평했다. 1999년에 ‘타임’지는 20세기를 대표하는 100인의 과학자와 사상가에 그의 이름을 넣었다. 그래도 우리나라에서는 트리버스란 이름을 처음 들어본 이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하긴, 어떤 사람들은 트리버스가 1970년대에 요절했다면 20세기 과학이 낳은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