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공기와의 마찰로 타올라 25%(약 3250t)로 줄어들었다. 29.7km 상공을 통과하며 가장 밝게
빛
나던 유성체는 27km 상공에 이르러 폭발했다. 유성체 폭발의 위력은 TNT 400~600kt으로 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 위력의 약 40배에 달했다.충격파로 1674명 중 107명은 뇌진탕 유성체는 27km로 비교적 높은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굴러들어갈지, 그렇지 않으면 끊임없이 원소를 융합시키며 불타오르는 항성의 따뜻한
빛
속에서 살게 될지는 투표 결과만이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운명’처럼 모순적이고 비이성적인 단어를 쓰다니, 아무래도 의 영향인 것 같았다. 나는 몸 안에서 무언가가 살짝 떨리는 것을 ... ...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녹색 형광 단백질을 만드는 DNA를 세포에 주사하자 아래 사진처럼 세포에서 녹색 형광
빛
이 나왔답니다. 세포가 망가지지 않고 DNA가 정확하게 전달됐다는 뜻이지요. 연구팀은 금 주사기를 이용해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약물을 세포에 정확히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만들거나 관측 대상이 여러 개로 보이지는 않는 경우를 말한다. 먼 은하에서 나오는
빛
이 중간에 있는 은하단의 중력 때문에 휘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은하단의 분포를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암흑에너지가 우주 팽창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한다.현재 3세대 연구는 진행 중이다. 미국, 영국,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최초로 공급된 전기는 직류였다. 1880년, 전구의 성공으로 한껏 고무된 에디슨은 “이로써
빛
은 완성되었다. 이제 남은 일은 대량생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뉴욕으로 본거지를 옮겨 전기공급소(직류 발전소)를 지었다. 1년 뒤부터는 고객들에게 직류를 배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반경 0.8km 안에 ... ...
의료기기와 첨단 기계로 만드는 공룡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오랜 고생 끝에 드디어 화석을 발견했다. 단단한 암석 속에 갇힌 공룡에게 세상의
빛
을 보여주기 위해 끌과 망치를 이용해 겉에 덮여있는 암석을 제거하는 중 손이 미끄러지면서 소중한 화석이 깨져버렸다. 이런 안타까운 상황에 닥쳤다면 어떤 기분일까.독일 미테대 아이 데마 이세버 박사팀이 11월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하루가 있는 쪽으로 달려갔다. 피타가 해답을 누르자, 하루가 갖고 있던 열쇠에서 환한
빛
이 나오기 시작했다. 피타와 하루가 달려오는 폴리스를 향해 손을 내밀고 두 손이 맞닿는 순간, 그들의 몸이 배 안에서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기 시작했다.“안 돼!”테스티의 분노에 찬 비명이 멀어지고 있었다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소개하고 있습니다.“빙의를 진단하고 나면 빙의한 영과 대화를 해서 내보낸 뒤
빛
명상으로 밀봉한다”고 치료 단계를 써 놓았습니다. 물질에 기반을 두지 않고도 의식이 있는 영이 존재하는 게 마치 기정사실인양 말하고 있습니다. 밀봉은 또 뭡니까? 사람이 무슨 락앤락 용기인가요?혹시 한의원을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동시에 꾸준히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 그는 “지금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 나중에
빛
을 발하면 부자가 될 수도 있으니 어린 시절 꿈을 포기한 건 아니다”라고 말하며 웃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교수가 사업을 운영하거나 투자해 큰돈을 버는 사례가 많다.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이와 비슷한 추세로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접안렌즈를 볼록렌즈로 바꿔 시야를 넓히는 데 성공했다. 대물렌즈를 오목거울로 바꿔
빛
을 모으는 ‘반사망원경’은 굴절망원경보다 상이 깨끗하고 크기도 자유롭게 키울 수 있어 천문대나 허블 우주망원경 같은 대형 망원경에 많이 쓰인다.갈릴레이도 놀라 자빠질 종이 굴절망원경준비물 검은색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