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듯이 달도 지구의 주위를 도는데, 이때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생긴다. 이 때문에 실제로 달의 모양이 변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 눈에는 달이 점점 작아지거나 점점 차오르는 걸로 보인다. 이런 달의 모양을 수학적으로 본다면 어떨까?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갇힌 사람들에게, 광유전학이 한 줄기 ‘빛’이 돼 줄 수 있을까.4. 인지 : 뇌로 소리와 빛을 직접 읽는다 뇌과학 연구를 통해 밝혀진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우리가 어떤 소리를 들을 때, 그 소리에 포함된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들이 뇌의 청각피질에 있는 각기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된다는 것이다. ... ...
- 빛으로 그린 그림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전설적인 화가 파블로 피카소가 항상 입체파 그림만을 그린 것은 아니다. 1949년 그는 시사화보잡지 ‘라이프(LIFE)’의 사진작가 존 밀러와 공동 ... 2008년 이 사진을 보고나서부터. 대런 피어슨은 ‘빛 그림을 그리는 자신’을 뺀, 오롯이 빛으로만 그린 환상적인 작품을 우리들에게 선사한다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값의 자연수 배가 된다는 가설을 도입했고, 아인슈타인은 형광이나 광전효과 현상에서 빛의 양자 개념을 도입했다. 이러한 세부 이론들을 모아서 통일된 원자와 분자모형으로 완성한 것이 바로 보어의 업적이다. 특히 에너지만이 아니라 각운동량의 양자화를 제안했고,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 ...
- 폭력 게임 좋아하면 범죄자 된다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끼치지 않는다는 연구는 둘 사이에 의미 있는 연관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오기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따라서 학술지에 실린 관련 연구는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쪽으로 편향돼 있고, 이렇게 편향된 연구를 종합하는 메타분석은 역시 편향적인 결론에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922년 콤프턴의 실험에서 얻은 아이디어였다. 콤프턴의 실험은 파동으로만 생각했던 빛에 입자적인 성질도 함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렇다면 입자로만 생각했던 전자 역시 파동이 아닐 이유가 뭐란 말인가?보어의 원자모형, 즉 전자가 원형궤도에 있다는 개념을 파동의 관점에서 보면, 파동이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망막에 상이 맺히게 한다. 각막은 굴절률이 1.36으로 물의 굴절률(1.34)과 비슷해 빛을 거의 굴절시키지 않는다.물고기의 시야를 보고 싶다면 이들의 눈 모양을 본 따 만든 ‘어안렌즈’를 이용해 보자. 어안 렌즈로 사진을 찍으면 가장자리가 왜곡된 동그란 상이 찍힌다. 물고기가 보는 세상도 ...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일종인 지방성 화합물(0.036%)을 섞는다. 이 때문에 빙해수조에는 세제 거품처럼 무지개빛을 내는 거품이 ‘둥둥’ 떠 있다.그 혼합물로 얼린 얼음의 단면을 보면 얼음핵을 떨어뜨린 표면은 둥근 ‘입자형’, 그 밑으로 자라난 얼음은 길다란 ‘기둥형’이다. 실제 극지 얼음의 결정구조와 비슷하다. ...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봉골레 파스타가 가장 맛있었어요. 쫄깃하면서도 고소한 달걀 맛이 느껴지고, 면의 노란 빛이 무척 맛있어 보였거든요.결국 그날 저녁, 실습실에서 배운 대로 집에서 봉골레 파스타를 한 번 더 만들어 먹었답니다. 맛이 어땠냐고요? 쉐프의 요리에는 훨씬 못 미쳤지만, 지금껏 제가 했던 봉골레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있었다. 원숭이가 빛의 속도를 넘어서 여래의 손바닥을 넘어선 세계가 있었고 원숭이가 빛의 속도를 넘어서지 못해서 여래의 손바닥에 갇힌 세계가 있었다. 원숭이가 움직인 세계가 있었고 원숭이가 움직이지 않은 세계가 있었다.우주는 수없이 많았다. 우주를 지배하는 법칙도 우주의 수만큼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