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으로 그린 그림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전설적인 화가 파블로 피카소가 항상 입체파 그림만을 그린 것은 아니다. 1949년 그는 시사화보잡지 ‘라이프(LIFE)’의 사진작가 존 밀러와 공동 ... 2008년 이 사진을 보고나서부터. 대런 피어슨은 ‘빛 그림을 그리는 자신’을 뺀, 오롯이 빛으로만 그린 환상적인 작품을 우리들에게 선사한다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있었다. 원숭이가 빛의 속도를 넘어서 여래의 손바닥을 넘어선 세계가 있었고 원숭이가 빛의 속도를 넘어서지 못해서 여래의 손바닥에 갇힌 세계가 있었다. 원숭이가 움직인 세계가 있었고 원숭이가 움직이지 않은 세계가 있었다.우주는 수없이 많았다. 우주를 지배하는 법칙도 우주의 수만큼 ...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돌아옵니다.여러 가지 재귀반사 방법 중에 유리구슬 방식을 살펴볼까요? 그림②처럼 빛은 두 번의 굴절과 한 번의 반사를 거쳐서 들어왔던 방향으로 다시 나가게 되죠. 이 방식은 모든 방향에서 잘 보인다는 장점이 있어요. 주로 중앙선의 페인트 위에 작은 유리구슬들을 뿌려서 붙이는 방법을 써요.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값의 자연수 배가 된다는 가설을 도입했고, 아인슈타인은 형광이나 광전효과 현상에서 빛의 양자 개념을 도입했다. 이러한 세부 이론들을 모아서 통일된 원자와 분자모형으로 완성한 것이 바로 보어의 업적이다. 특히 에너지만이 아니라 각운동량의 양자화를 제안했고,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922년 콤프턴의 실험에서 얻은 아이디어였다. 콤프턴의 실험은 파동으로만 생각했던 빛에 입자적인 성질도 함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렇다면 입자로만 생각했던 전자 역시 파동이 아닐 이유가 뭐란 말인가?보어의 원자모형, 즉 전자가 원형궤도에 있다는 개념을 파동의 관점에서 보면, 파동이 ... ...
- 폭력 게임 좋아하면 범죄자 된다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끼치지 않는다는 연구는 둘 사이에 의미 있는 연관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오기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따라서 학술지에 실린 관련 연구는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쪽으로 편향돼 있고, 이렇게 편향된 연구를 종합하는 메타분석은 역시 편향적인 결론에 ...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봉골레 파스타가 가장 맛있었어요. 쫄깃하면서도 고소한 달걀 맛이 느껴지고, 면의 노란 빛이 무척 맛있어 보였거든요.결국 그날 저녁, 실습실에서 배운 대로 집에서 봉골레 파스타를 한 번 더 만들어 먹었답니다. 맛이 어땠냐고요? 쉐프의 요리에는 훨씬 못 미쳤지만, 지금껏 제가 했던 봉골레 ...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살펴봤던 것처럼 모두 정삼각형과 마름모 형태는 아니다.사실 다이아몬드가 아름다운 빛을 발산하려면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정팔각형의 가로 길이와 다이아몬드의 가로 길이, 다이아몬드의 높이가 중요하다. 마르셀 톨코프스키는 ‘다이아몬드 디자인’이라는 논문을 통해서 브릴리언트 커트가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어둠에 휩싸이고 말았다. 하루가 정신을 차렸을 땐 피타가 자신을 걱정스러운 눈빛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리고 어디선가 폴과 폴리스가 자신을 찾는 소리가 들렸지만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여긴…, 병실과 연결된 비밀 공간?”하루는 어둠에 익숙해지자 피타와 함께 비밀 공간을 둘러보기로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갇힌 사람들에게, 광유전학이 한 줄기 ‘빛’이 돼 줄 수 있을까.4. 인지 : 뇌로 소리와 빛을 직접 읽는다 뇌과학 연구를 통해 밝혀진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우리가 어떤 소리를 들을 때, 그 소리에 포함된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들이 뇌의 청각피질에 있는 각기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된다는 것이다.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