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집 줄여도 성능은 기대 이상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제거했다.SLR카메라는 셔터를 누르면 미러가 위로 올라가면서 셔터막이 열리고 그
순간
에 렌즈를 통해서 들어온 빛이 이미지센서에 도달해 이미지가 생성된다. 미러리스 카메라의 작동 원리는 다르다.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이 곧바로 이미지센서에 전달돼 LCD 화면을 통해 라이브뷰로 보인다. ... ...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일은 그저 예고편이었지. 내 그대들의 도시에 ‘죽음의 바코드’를 남기리라.”그
순간
이었다. 서울 상공을 날아가던 정체불명의 비행기가 신형 폭탄을 빌딩 숲 위로 뿌려대기 시작했다. 그 남자는 이 많은 폭탄을 어떻게 원격으로 폭파시키려는 것일까. 신형 폭탄은 오로지 특수 파장의 빛을 받아야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시간이와 같이 구간을 나눠 평균속도를 측정하면, 운전자가 과속카메라 바로 앞에서
순간
속도를 줄이는 꼼수로는 과속 단속을 피할 수 없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2007년 영동고속도로 둔내터널 강릉방면의 편도 2차로 7.4km 구간을 시작으로 구간단속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후로도 ... ...
9화 새로운 단서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갑자기 러일로가 숨죽인 목소리로 일행을 조용히 시켰다. 다음
순간
어디서 나타났는지 숫자 요정들이 방 바로 앞을 지나가며 주변을 살피는 모습이 보였다.“왜 여기 숫자 요정들이…!”“휴, 다행히 아직 내가 풀려난 걸 알아채지 못한 것 같군. 어서 이곳을 빠져 나가야 돼!”문제 ❶ 비밀의 방,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방정식으로, 방정식의 해를 해석하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도함수란 원래 함수에서
순간
적으로 변화한 값을 치역으로 갖는 함수다.좀비의 확산은 3개의 방정식으로 표현된다그런데 일반 전염병과 달리 좀비는 죽은 사람도 부활해 좀비가 된다. 따라서 연구팀은 상황에 맞게 전염병 모델을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모든 환경을 측정해 주는 고마운 녀석이다. 그런데 지금 왜 갑자기 요동을 치는 걸까.
순간
멀리서 붉은색 점이 보였다. 그 점은 점점 더 가까워지면서 커졌다. 화성 모래폭풍이다. 시속 160km로 달려오는 모래바람이다. REMS가 요동친 이유다. 두 개의 작은 기둥이 모래 폭풍에서 만들어지는 공기의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있을 정도로 혈통을 잘 보존하고 있다. 키가 160~170cm로 다리가 길고 시속 60km에 이르는
순간
스피드를 내는 서러브레드는 근육이 대부분 속근이어서 단거리 경마에 최적화돼 있다.물론 신체조건이 전부는 아니다. 강 교수는 “말의 성향도 품종 개량의 대상이다”라며 “서러브레드는 출발선에 서면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공급해주지 않거나, 레이저에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면 관성 밀폐방식의 핵융합로는 그
순간
멈춘다(과학동아 2012년 5월호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기사 참조).자기 밀폐방식이라 해도 핵융합로가 ‘폭주할 수 없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외부에서 에너지 공급이 끊어지면 자기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정도는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태양의 모습과 성질을 유지하는 주역은 내부에서 매
순간
일어나는 핵융합반응이다.빛이 태양 사우나를 빠져나오려면태양 전체 질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중심부는 온도가 1000만℃ 이상 올라간다. 이런 고온 환경에서는 수소 원자들이 고속으로 운동하는데 ... ...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돌아서는
순간
, 이게 웬걸? 얇아도 너무 얇다. 다시 보니 색감도 훨씬 선명해 보인다.
순간
눈에 들어온 문구. 55인치 OLED 3D TV. 나머진 다 알겠는데 OLED가 뭘까. 그러고 보니 ‘아몰레드(AMOLED)’라고 부르던 스마트폰도 있었던 것 같은데 비슷한 걸까.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OLED의 정체와 원리를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