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6년 익산에서 탐사하며 찾은 개구리가 지난 6월 25일 우리나라에만 사는 신종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노랑배청개구리’란 이름이 붙은 이 개구리는 수원청개구리와 다른 종으로 밝혀져, 우리나라의 청개구리 속은 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 노랑배청개구리 3종이 되었어요. 익산에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에 찾아온 손님들, 붉은여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방사한 붉은여우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혈액을 채취해 유전자 검사를 했습니다. 검사 결과 소백산 여우가 아닌 북미산 붉은여우로 밝혀졌지요. 사람이 키우던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세종시와 청주시 같은 도심에서 나타났고, 포획 당시 사람에 대한 경계가 별로 없을 정도로 야생성이 ... ...
- [과학동아 천문대] 이달의 우주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중력에 끌려 들어와 매우 빠른 속도로 지구 대기와 부딪혀 타오르는 현상이지요. 그 결과 빛과 열을 낸답니다. 별똥별을 만드는 우주먼지는 어떻게 생길까요? 질량이 큰 천체는 중력이 세요. 반대로 소행성이나 혜성처럼 질량이 작은 천체는 중력이 약해 천체를 구성하던 물질들이 떨어져 나가기도 ... ...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플래닛 나인이 존재한다면 이와 같은 공전궤도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천문학 저널’ 지난해 12월 10일자에 실렸다. doi: 10.3847/1538-3881/abc01 ... ...
- [과학뉴스] 청설모도 이웃과 사이좋게 지낼수록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생활하는 청설모도 같은 이웃과 오랫동안 공존할 경우 생존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지난해 12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94년부터 2015년까지 22년간 캐나다 유콘주 남서부에 서식하는 청설모 1009마리를 연구했다. 청설모에 식별표를 달고 주기적으로 ... ...
- [과학뉴스] 브레이크댄스 추는 문어 로봇은 처음이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고분자 중합체를 형성하는 분자가 들어있다. 분자가 뭉치면 하이드로겔이 수축하고 그 결과 납작했던 로봇이 구부러져 마치 자리에서 일어선 것처럼 보인다. 이 상태에서 회전 자기장(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해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자기장)을 가하면 로봇의 니켈 골격이 움직이며 로봇이 앞으로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예측이 가능했다. 이것은 현존하는 데이터(단백질 구조와 서열정보)를 폭넓게 활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결국 엄청난 양의 단백질 서열을 생산할 수 있게 한 DNA 해독기법인 차세대염기서열해독기술(NGS)을 개발한 과학자와 단백질 구조를 실험으로 밝힌 구조생물학자, 단백질 구조 및 서열 분석 방법을 ... ...
- 이중섭의 '흰 소' 과학적 가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가축유전자원센터에 있습니다. 이는 2011년부터 백한우의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한 결과입니다. 가축유전자원센터가 멸종위기를 맞은 백한우를 복제하려는 이유는 이들이 축산학적으로 귀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농업과 축산업에서 유전자 다양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환경변화와 질병에 ... ...
- 따뜻한 지구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땅속 화석연료를 사용했고, 지구를 따뜻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우리는 산업화 이후 무려 기온 3℃ 상승이라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짝짝짝. 오늘은 창간 116주년을 맞이한 과학동아가 그동안 전 세계를 취재하며 담아낸 생생한 지구의 모습을 준비했습니다 ...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상태가 바뀌는 정도를 통해 원자의 스핀이 얼마나 빠르게 세차운동을 하는지 알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자기장이 얼마나 센지 알 수 있습니다.이 기술은 현재 빛과 매질의 상태를 정밀하게 조정하면서 지구가 만드는 자기장의 10억 분의 1 수준으로 약한 자기장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