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1998년 발사했던 ‘화성 기후 궤도선’은 프로그램 단순 오류로 궤도 오차가 발생했다. 그 결과 화성 궤도에 진입한 뒤 1분도 지나지 않아 위성이 소실됐다. 같은 해 일본도 탐사선 ‘노조미’를 보냈으나 연료 부족과 주 추진 장치 고장으로 화성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궤도 진입의 첫 번째 난관은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분석해 전 세계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16가지 보편적인 표정을 짓는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지난해 12월 16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0-3037-7연구팀은 동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의 표정에 욕망, 흥미, 만족, 즐거움, 슬픔 등의 태그를 달았다. 그리고 인물이 처한 상황과의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동생은 나비가 되는 애벌레의 모습을 몸으로 표현했어요. 가족 모두가 관찰에 참여한 결과라 더욱 뿌듯했답니다. Q올해 지사탐 활동 다짐 부탁드려요!작년엔 코로나19로 학교를 못가게 되면서 동네를 탐사할 시간이 많아졌어요. 특히 지사탐 강연을 온라인으로 볼 수 있게 되어 빠짐없이 참여하고,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집 구조를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두께의 보를 설치한 거예요. 이후 위층 바닥에 충격원을 떨어뜨려 소음을 측정했어요. 그 결과, 소음이 82.7dB에서 79.2dB로, 3dB 정도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연구를 진행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송태협 박사는 “3dB이 감소한 건 소음의 세기가 1/10로 줄어든 것을 의미한다”며, “만족할 ... ...
- [과학뉴스] 거대 빙산, 펭귄 떼 사는 섬과 들이받을 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난 12월 23일, 영국 리즈대학교 극지관측센터 연구팀은 4개의 위성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빙산 A-68A의 부피가 3년 만에 64% 감소했다고 발표했어요. 매일 빙산이 2.5cm씩 녹으며, 1초에 76만 7000L의 담수가 바다로 흘러가는 거예요. 게다가 빙산이 해안을 막으면 펭귄이나 바다표범들이 먹이를 ... ...
- [4컷 만화] 플라스틱 먹은 낙타가 굶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팀은 2008년 이후 두바이 사막에서 죽은 낙타 3만 마리의 사망 원인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300구의 사체 뱃속에서 플라스틱 덩어리가 발견됐어요. 이는 낙타가 기름기나 소금기가 남아있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이라고 착각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돼요. 이후 플라스틱이 소화되지 않고 낙타의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500℃ 이상의 뜨거운 화산재에 파묻혀 녹은 뒤 빠르게 식으며 그대로 유리처럼 변했고, 그 결과 뇌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배열이 변형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정했어요.이처럼 자연에서 생명체의 유해나 그 일부가 유리처럼 변하는 일은 매우 드물어요. 이같은 사례는 제2차 세계대전 중 폭격에 의해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정책을 완화하는 속도에 따라 각 집단의 사망자 수와 경제적 영향을 알아봤습니다. 그 결과 거리두기를 엄격하게 유지할 때 사망자 수는 약 23만 명이었으며, 경기 침체에 미치는 영향은 34%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달리 빠르게 완화할 때는 그 수치가 각각 약 52만 명과 32%로 나왔습니다.네호라이 ... ...
- [기획] 외계인도 답을 모르는 수학 난제, 램지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다 덤벼~!수리 : 잠깐! 최근 ‘다색 램지 수’의 하한을 높이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 기존 연구에서 많이 쓰는 확률적 방법에 비확률적 방법을 접목해 램지 수가 존재하는 범위를 크게 좁혔대. 어쩌면 R(t;4)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도 몰라. 무슨 외계어냐고? 지금부터 알려줄게! ▼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R(3,3)=6이라는 것은 R(3,3)이 6보다 작거나 같고 5보다는 크다는 연구 결과를 종합해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수학자들은 R(t,t)처럼 r과 s가 같은 경우로 좁히거나, R(3,t)와 같이 두 변수 중 하나를 고정해 램지 수를 구했습니다. 많은 수학자의 노력으로 지금까지 밝혀진 램지 수는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