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두 빛이 섞일 때 생기는 간섭패턴을 필름과 같은 감광재료에 저장하는 것이 원리다. 그런 다음 필름에 기준광을 다시 쏘면 물체 없이도 필름에 기록됐던 물체광이 나와 원래 물체의 형태를 재현하는데, 이를 ‘아날로그 홀로그래피 기술’이라 부른다.아날로그 홀로그래피 기술은 필름이라 불리는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알려주는 경계신호를 내는 행동도 마찬가지다. “이번에는 내가 경계음을 내마, 다음에는 네가 내 다오” 식으로 새들이 한 종류의 도움을 주고받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기각된다.요약하자. 트리버스는 비친족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과거에 나를 도와준 이만 도와주고 나를 배신한 이는 도와주지 않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자연수 색칠하기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자연수 1, 2, 3, …을 각각 빨강, 파랑, 초록 중 한 가지 색으로 칠한다고 합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색칠합니다.이 중 2, 7, 9는 같은 파랑색인데, 2+7=9가 됩니다. 만일 자연수 전체를 세 가지 색으로 색칠한다고 할 때 같은 색으로 된 x, y, x+y가 하나도 나오지 않게 색칠할 수 있을까요?1916년 독일의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용하는 과학적 시간의 표준. 영국의 런던시간이 0시일 때에 한국은 9시간이 빠른 다음 날 오전 9시가 된다.● GPS :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Part 2. 세상에서 가장 ... ...
- 수학자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촌각을 다투는 응급실에서 의사가 자신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 인턴을 길들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의사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이 뭔지 알아? 인턴한테 시키는 거야.” 인턴이라면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것처럼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군말 없이 해내야 한다는 뜻이다.현대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광산 김씨는 인구수 8위를 유지한 성씨다. 필자의 성씨인 안동 권씨는 광산 김씨 다음으로 작은 엔트로피를 유지하다가, 2015년에는 안동 김씨에 그 자리를 내주고 세 번째로 작은 엔트로피 값을 나타냈다. 참고로 안동 권씨의 인구수는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줄곧 11위를 차지했다. 광산 김씨와 안동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득을 주고받는다면 과연 아무 문제가 없다. 그렇지만 내가 지금 상대에게 이득을 준 다음에, 나중에서야 상대로부터 이득을 되돌려 받을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이득을 받기만 하고 되갚지 않는 ‘먹튀’가 창궐하지 않을까. 이런 사기꾼을 가려내게끔 어떻게 자연선택이 작동했을까? 인간이 아닌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전력을 줄여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시대를 앞당긴다는 데에만 있지 않다. 2진법 다음 단계의 디지털인 3진법을 발판으로 4진법과 5진법, 10진법을 구현하고, 궁극적으로는 하드웨어로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는 데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3진법 이상의 논리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회로를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눈꺼풀이 움직이는 걸 보며 느낀 감정은 공포에 가까웠답니다. 기준 오빠가 눈을 뜬 다음 모든 게 미친 착오였다고 말한다면, 이런 걸 원하지 않았다고 말한다면……. 저는 뒤로 물러섰고, 남선 오빠가 그런 저의 팔꿈치를 잡았습니다. 더 이상 물러서지 못하게요.기준 오빠가 눈을 떴습니다.의료인 ...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관찰했습니다. 물고기가 많이 모여 있는 곳에 숨으면 포식자를 잘 피할 수 있거든요. 다음에는 크기가 큰 먹이와 작은 먹이를 같은 수만큼 수조 양쪽에 두고 같은 실험을 했습니다.구피는 물고기 수를 잘 구분한다고 해서 먹이 크기를 잘 구분하지는 않았습니다. 어떤 구피는 포식자를 피하는 일에,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