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끔찍한 일을 막기 위해 발버둥치다가 점점 CCTV 속 모습과 똑같이 변해간다. 미래를
본
것 때문에 현재가 점점 그 미래 속 모습처럼 변해가는 것이다. 인과율로 따지면 역시 모순이다.하지만 현대과학이 시간여행의 가능성을 명확히 밝혀내지 못하는 것처럼, 당장 내일 일이 어떻게 될지는 누구도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만유인력의 법칙이 증명되고 천문학 분야에 꽃이 피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살펴
본
것처럼 우주를 이해하는 데 수학이 결정적 역할을 해왔지요. 아래에 나오는 많은 수학자들도 중요한 역할을 했구요.이번에 다가온 아이손이 남긴 우주의 부스러기에는 또 어떤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들어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암흑에너지조사(DES)는 지난 9월부터 지름 4m짜리 망원경을 이용해 5000제곱각(지구에서
본
달의 면적은 약 0.2제곱각)에 달하는 남반구의 하늘을 조사하고 있다. 앞으로 5년 동안 3억 개의 은하와 10만 개의 은하단, 4000개의 새로운 초신성을 관측할 계획이다.2008년부터 진행 중인 SDSS-III의 일부인 BOSS도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잔향시간은 벽 재료에 따라 달라집니다. 불 꺼진 극장 벽을 더듬거리며 들어가
본
적이 있나요? 살짝 푹신한 극장 벽은 소리를 잘 흡수하는 ‘흡음재’입니다. 밀도가 낮고 통기성이 좋은 재료들은 소리에너지를 쉽게 흡수합니다. 반면 딱딱한 돌은 소리를 거의 흡수하지 않습니다. 이런 재료는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푸른곰팡이어딘가 상한 듯이 퀴퀴하고 매캐한 냄새와 씁쓸한 맛을 내는 치즈를 먹어
본
적 있나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치즈로 꼽히는 카망베르와 피자에 얹어 꿀을 발라 먹는 고르곤졸라, 그리고 양젖으로 만드는 로크포르는 특유한 향과 맛이 있어요. 이 치즈들에는 사람의 피부에 살면서 ... ...
MIN TALK9 금사빠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중앙 부위가 반응했습니다.실험한 지 며칠이 지난 후 실험 참가자들은 사진에서
본
이성과 실제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 결과 사진을 보고 호감을 느낀 이성과 직접 만난 후 호감도는 약 63% 일치했고 이 중 10%가 넘는 참가자들이 실제 연인관계가 됐습니다. 쿠퍼 박사는 사람들이 연인이나 ... ...
지방세포 살빼기로 비만 탈출! 어린이 다이어트 백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인가요? 그런데 최근 몇 년간 어린이 비만이 꾸준히 늘고 있어요. 또 다이어트를 해
본
친구들도 열 명 중 예닐곱 명이나 된대요. 하지만 성장기 동안 잘못된 방법으로 살을 빼면 오히려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요. 키가 안 클 수도 있고 관절을 다칠 수도 있지요. 어린이도 꼭 살을 빼야 할까요?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화제가 되는 것은 글루텐이더군요. 그렇지 않아도 요즘 ‘글루텐프리’ 파스타 광고를
본
기억이 납니다. 글루텐이 들어 있지 않아 건강한 파스타라고 합니다.글루텐은 밀가루에 들어 있는 단백질입니다. 반죽을 쫄깃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성분 덕분에 밀가루로 빵도 만들고 면도 만들고 ... ...
[12월]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즉시 두뇌 활동을 왕성하게 하는 에너지원이 됩니다. 3. 쓰레기 섬 쓰레기 섬이라고 들어
본
적 있나요? 현재 남한 면적에 10배가 넘는 지도에는 나와 있지 않은 쓰레기 섬이 태평양 한가운데에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 쓰레기 섬의 쓰레기들은 해류를 따라 흐르다 해류가 급격히 느려지는 이 지점에서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그런데 우주가 영원히 지금 상태를 유지한다고 생각했던 시절에도 과학적으로 따져
본
종말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었다. 이른바 ‘열적 죽음’이다. 닫힌 계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열역학 제2법칙에서 나온 아이디어다. 전 우주에 걸쳐 열적으로 평형상태가 이뤄지면 엔트로피가 최대가 되는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