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학원 다니는 친구들에게 물어보고 자료를 받아서 공부했어요. 그리고 그 친구들에게 제가 이해한 방식대로 다시 설명을 해주니, 다들 좋아하더라고요. 선생님께서 이런 모습을 보시고 방과후에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주셔서 친구들과 함께 공부할 수 있었어요.” 대학 때도 집안의 형편은 그리 ...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식을 공유하는 마당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뜻에서 수학콘서트에 참여했어요. 제가 있는 옥스퍼드대에서는 식사 때마다 여러 과 교수님들이 함께 모여 정보를 공유하곤 합니다. 공상을 위한 아주 훌륭한 토양이지요. 저는 우리나라에서 지적 공동체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어요.”‘소수공상’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건 분명 안도의 외침이었다.눈을 감고 아이의 손을 살짝 움켜쥐었다. “고마워. 이제 다 잘 될 거야.”징계위원회가 열리고, 몇 개의 직위에서 물러나야 했다. 그러고도 책임질 일이 한참 더 남아 있었다. 아무튼 모든 일정을 마무리하고 마침내 집으로 돌아가던 날, 윤희나는 집안에 들어서자마자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마지막으로 청소년에게 진로나 직업 선택에 대한 조언을 부탁했다. “경제적인 문제도 무시할 순 없지. 중요한 거야. 하지만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게 필요해요. 용꼬리보다는 뱀머리가 되는 거지. 그리고 꿈은 크게 꿔야 해. 그래야 뭐든 이룰 수 있어요. 꿈을 작게 그리지 마세요. 웅장한 꿈을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인공위성 현황> *국가 주도 개발, 운용 위성 이름 발사 시기 임무 우리별 1호 1992년 위성 제작기술 습득 우리별 2호 1993년 소형위성기술 획득 우리별 3호 1999년 지상 및 과학 관측 과학기술위성 1호 2003년 우주환경 측정 과학기술위성 2호(A, B) 2009, 2010년 우주과학 연구(나로호 발사 2차례 실패)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미치는 건축,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하며 학문의 영역을 다시 쓰는 건축. 뿐만 아니라 이제는 미술 전시에 참여하는 디자인으로서의 건축까지, 건축은 스스로의 세계를 계속 넓혀가고 있다. 가장 오랜 시간 인류와 함께 해 온 공학이자 예술이니, 인류의 보편적인 요구에 두루 부응하는 건 자연스러운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국가가 추진하는 정책의 성공 여부까지…. 오잉? 이 사람들 다 어디 갔지?하하~! 이제 그만 해도 될 것 같네, 리드. 다들 빨리 사업에 적용해 봐야겠다며 신이 나서 돌아갔네. 저기 좀 보게나. 처음 왔을 때의 그 시무룩한 표정은 사라지고, 모두 희망에 차있는 것 같지 않나? 이렇게 누군가에게 희망을 ...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모스 부호의 소리와 드라마 주제가 속에 모스 부호로 표현된 제 이름을 직접 들어 보면 제법 흥미롭답니다. 후보 5 베토벤, 운명교향곡에 암호를 담다?드디어 내 차례군. 베토벤의 교향곡 5번, ‘운명’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아마 없을 거야. 특히 3번의 짧은 음 뒤에 긴 음이 따라오는 전주 부분은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처음 제기된 1798년에서 200년이 지난 1998년에는 인구와 식량의 비가 256:9여야 했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았다. 맬서스가 인구론을 주장할 당시는 산업혁명 초기로, 20세기 산업이 이렇게 발달할 줄 몰랐기 때문에 틀린 예측을 한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했고, 그 결과 인구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가디너개구리는 귀 대신에 입을 사용한다. 지난 9월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된 국제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이 개구리에게는 고막이 달린 중이가 없다. 개구리는 보통 피부 아래에 귀가 있어서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중이가 없다면 소리를 들을 수 없어야 한다. 그러나 가디너개구리는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