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비행지점 · 비행코스 등을 자체에 장비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거나 착륙하는 방식
항공
기 · 선박 등을 무선으로 유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신기 무선조종용 신호를 수신 · 검파하고 그것에 의해 필요한 계기를 작동시킨다 길이 ·각도·넓이 ·부피 등 모든 기하학적 양의 대소 관계를 ... ...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볼 수 있게 해 주는 장치다. 뜨거운 열기 속에 실험과 발표를 성공적으로 마친 미래의
항공
우주공학도들은 “돈 주고도 못할 체험을 했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제 꿈은 원자핵공학자예요!“재료공학을 지원했는데, 원자핵공학 팀에 배정 받았어요.”정명윤(전남 정명여고) 양은 원하는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가스화하고, 분해가스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하여 연료용 가스를 제조하는 방법 비행중인
항공
기에 무선으로 항로를 지시하기 위한 표지의 하나 현재의 전방향식 무선표지(全方向式無線標識)가 보급되기 전의 방식이며 가시식 코스와 가청식 코스를 각기 2개씩 가지고 있는 무선항로 표지이다 가시식 ... ...
달 용암굴에 집을 짓자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1km의 ‘하들리 열구’는 용암굴이 부분적으로 붕괴돼 생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유인 달 탐사 계획이 다시 진행되면서 달의 용암굴을, 우주인을 우주 방사선과 운석으로부터 지켜줄 주거공간으로 활용하자는 논의가 시작된 것이다.마돈 박사는 “달 표면에 운석을 피하기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말한다.편지의 내용은 대부분 우주왕복선의 이름을 ‘엔터프라이즈’호로 붙이도록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 압력을 넣으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엔터프라이즈 호는 스타트렉의 주인공격인 우주선이다. 결국 최초의 우주왕복선은 원래 예정된 ‘컨스티튜션’(Constitution)이라는 이름 대신 ... ...
항공
스포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행글라이딩행글라이딩은 일종의 삼각형 낙하산이란 점에서 패러글라이딩과 비행원리가 같다. 원하는 방향으로 체중을 실어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날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왼쪽으로 체중을 실으면 왼쪽으로 회전한다. 따뜻한 공기나 산 사면을 타고 오르는 상승기류를 이용해 비행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십만개의 기뢰로 둑을 만들기도 했다어형수뢰의 준말 잠수함 외에 수상함정이나
항공
기 등에서도 발사된다 자주력(self-propellant)에 의해 일정한 수심을 뚫고 날아 표적(대개 함선의 밑부분)에 명중하도록 돼 있다 어뢰는 함포에 비해 발사장치가 간단하다페스트'라고도 불리는 흑사병은 간균인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직 이착륙을 하며 동시에 비행기처럼 수평 비행도 하는 세계 최초의 틸트-로터
항공
기다. 최근 2006년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처음으로 대서양을 횡단했다. 지구형행성, 위성, 기타 암석질 천체의 표면에 운석충돌에 의해 생긴 구덩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생긴 함몰지형으로,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못하는 표본을 모은다면 ‘표본 선택 편의’라는 오류에 빠진다.지난 7월 4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기상 악화로 발사를 두 차례 연기한 가운데 연료탱크에서 단열재 균열을 발견했지만 문제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이날 발사를 강행했다.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같은 장거리 미사일을 완벽하게 방어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앞으로는
항공
기 탑재 레이저(ABL)나 우주기반 레이저(SBL)를 개발해 가속구간에서 적의 탄도탄을 파괴할 계획이다. 완전한 미사일방어체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국의 미사일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