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제 선내 우주복 입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최초의 우주인 선발에 3만6000여명이 몰렸다. 지난 7월 14일 과학기술부와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이 우주인 후보 공모를 마감한 결과 남자 2만9280명, 여자 6926명으로 모두 3만6206명이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 21일부터 인터넷사이트(www.woojuro.or.kr)에서 진행된 이번 공모에는 신세계그룹 정재은(67)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돌진하는 소행성을 폭파시키고 수만광년이나 떨어진 다른 세계를 곁눈질할 수 있는
항공
우주공학의 미래는 무한하다. 방 교수와 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의 석사과정 6명과 박사과정 6명은 오늘도 우주를 누비는 꿈을 꾼다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발하는 열을 감지하는 특수 필름이다 원래 식물의 분포를 관측하거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항공
촬영을 할 때 사용됐다 보통의 컬러 필름처럼 3개의 유제층이 있는데, 두 층은 가시광선의 녹색과 빨간색을 흡수하는 반면 다른 한층은 적외선을 흡수한다기둥의 중간을 끝보다 굵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예측에 기초한 국제 선물경매장 출하, 과실의 수확·세척·선별·포장·수송·세관 통관·
항공
기 선적에 이르는 작업이 일관되게 진행돼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이스라엘은 작은 국토 면적에 절반은 사막이지만 물방울 관개법을 이용해 토마토와 감귤 같은 고당도 과일을 육종했다.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그렇다면 태권V에 924톤이라는 많은 연료를 적재할 장소는 있는지 알아보자. 일반적인
항공
기 연료 1드럼(약 200L)은 중량이 0.151톤이다. 따라서 태권V에 6119드럼이 들어가는 셈이다. 연료 적재에 필요한 부피는 122만4000L, 즉 1224m³이다. 어깨에 공기흡입구 있어야태권V의 양 다리에 연료를 채워 넣는다고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빔’을 완성했다고 공표했다. 그러나 입자 빔 무기는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았고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이와 비슷한 레이저 빔 무기를 개발 중이다.테슬라의 연구는 미국연방수사국(FBI)의 주목을 받았다. 테슬라가 죽은 뒤 FBI가 그의 발명 문건을 처리했는데, 이 과정에서 그의 발명 기록 문건이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의미와 전자공학에서 사용되는 의미, 두가지가 있다
항공
공학에서의 부스터는 로킷이나
항공
기 등의 보조 추진용 로킷을 의미한다 이 부스터는 연소 후에 즉시 떼어버린다 그리고 전자공학에서 쓰이는 부스터라는 용어는 전원 전압의 일부분을 전원의 상황에 따라 상승 또는 드물게 감소시키는 ... ...
야광구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커져 최근 위도 40도 아래까지 퍼진 상태다.지난 5월 26일 ‘뉴사이언티스트’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야광구름 생성의 비밀을 풀기 위해 지표면에서 50~80km 높이의 중간권을 관측할 인공위성(AIM)을 올해 말 발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보통 구름은 수증기가 상승해 충분히 냉각된 뒤 먼지를 만나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무중력 우주공간에서 질량을 잴 수 있는 ‘우주 저울’이 눈길을 끌었다.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 개발한 우주 저울은 물체를 가속할 때 ‘로드 셀’(load cell)이라는 센서를 이용해 물체에 미치는 힘을 잼으로써 질량을 알아내는 방식이다. 우주 저울은 질량을 아는 표준 추와 질량을 재고 ... ...
화성의 '웃는 얼굴' 크레이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공개했다. 이른바 ‘웃는 얼굴’ 지형. 웃는 얼굴 지형은 30년 전에 발견됐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바이킹 1호가 1976년 6월 화성 궤도에 진입한 뒤 표면의 다양한 모습을 찍었다. 그 중의 하나가 ‘웃는 얼굴’ 지형이었다. 멀리서 잡히기도 했지만 비스듬하게 찍힌 모습이 영락없이 사람의 웃는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