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같은 장거리 미사일을 완벽하게 방어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앞으로는
항공
기 탑재 레이저(ABL)나 우주기반 레이저(SBL)를 개발해 가속구간에서 적의 탄도탄을 파괴할 계획이다. 완전한 미사일방어체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국의 미사일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직 이착륙을 하며 동시에 비행기처럼 수평 비행도 하는 세계 최초의 틸트-로터
항공
기다. 최근 2006년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처음으로 대서양을 횡단했다. 지구형행성, 위성, 기타 암석질 천체의 표면에 운석충돌에 의해 생긴 구덩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생긴 함몰지형으로,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예측에 기초한 국제 선물경매장 출하, 과실의 수확·세척·선별·포장·수송·세관 통관·
항공
기 선적에 이르는 작업이 일관되게 진행돼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이스라엘은 작은 국토 면적에 절반은 사막이지만 물방울 관개법을 이용해 토마토와 감귤 같은 고당도 과일을 육종했다.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돌진하는 소행성을 폭파시키고 수만광년이나 떨어진 다른 세계를 곁눈질할 수 있는
항공
우주공학의 미래는 무한하다. 방 교수와 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의 석사과정 6명과 박사과정 6명은 오늘도 우주를 누비는 꿈을 꾼다 ... ...
화성의 '웃는 얼굴' 크레이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공개했다. 이른바 ‘웃는 얼굴’ 지형. 웃는 얼굴 지형은 30년 전에 발견됐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바이킹 1호가 1976년 6월 화성 궤도에 진입한 뒤 표면의 다양한 모습을 찍었다. 그 중의 하나가 ‘웃는 얼굴’ 지형이었다. 멀리서 잡히기도 했지만 비스듬하게 찍힌 모습이 영락없이 사람의 웃는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무중력 우주공간에서 질량을 잴 수 있는 ‘우주 저울’이 눈길을 끌었다.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 개발한 우주 저울은 물체를 가속할 때 ‘로드 셀’(load cell)이라는 센서를 이용해 물체에 미치는 힘을 잼으로써 질량을 알아내는 방식이다. 우주 저울은 질량을 아는 표준 추와 질량을 재고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빔’을 완성했다고 공표했다. 그러나 입자 빔 무기는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았고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이와 비슷한 레이저 빔 무기를 개발 중이다.테슬라의 연구는 미국연방수사국(FBI)의 주목을 받았다. 테슬라가 죽은 뒤 FBI가 그의 발명 문건을 처리했는데, 이 과정에서 그의 발명 기록 문건이 ... ...
내 몸에 꼭 맞는 재료 설계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2005년 대표적 우수 연구성과 50선’에 선정됐다.“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기술, 우주
항공
기술 등의 발달은 새로운 부품과 재료를 개발하도록 했습니다. 지금까지 부품의 성격에 적당한 재료를 사용했다면 이제는 부품의 성격에 꼭 맞는 재료를 새로 설계해서 만드는 맞춤식 재료설계를 도입할 수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그렇다면 태권V에 924톤이라는 많은 연료를 적재할 장소는 있는지 알아보자. 일반적인
항공
기 연료 1드럼(약 200L)은 중량이 0.151톤이다. 따라서 태권V에 6119드럼이 들어가는 셈이다. 연료 적재에 필요한 부피는 122만4000L, 즉 1224m³이다. 어깨에 공기흡입구 있어야태권V의 양 다리에 연료를 채워 넣는다고 ... ...
야광구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커져 최근 위도 40도 아래까지 퍼진 상태다.지난 5월 26일 ‘뉴사이언티스트’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야광구름 생성의 비밀을 풀기 위해 지표면에서 50~80km 높이의 중간권을 관측할 인공위성(AIM)을 올해 말 발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보통 구름은 수증기가 상승해 충분히 냉각된 뒤 먼지를 만나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