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돌
조약돌
돌멩이
쇄석
작은 돌
조개 껍데기
돌
d라이브러리
"
자갈
"(으)로 총 2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09
온수난방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온풍난방 시스템에서의 열매체는 공기이고 축열조는
자갈
로 채워져 있다. 공기는 집열기에서 가열되어 축열조 혹은 건물에 공급된다. 또 건물안의 찬 공기는 송풍기에 의해 축열조나 집열기로 순환된다이러한 온풍난방시스템의 장점은 온수시스템이 비해 ... ...
탄력성있는 시멘트 개발에 열중
과학동아
l
198907
콘크리트, 즉 물+시멘트+모래+
자갈
의 압축강도가 30kg/cm²인데 비해 얼음가루+시멘트+모래+
자갈
은 60kg/cm²로 강도가 2배 정도 높게 나타난 것.끝으로 MDF법이 있다. 이 방법은 폴리비닐알콜 등 계면활성제를 물에 섞어 과잉의 물을 흡수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mm수준의 큰(macro)기포는 거의 없애준다.이 ... ...
호랑이
과학동아
l
198810
난 사진에 의심이 갔다. 사진의 뒤에 콩크리트벽처럼 보이는 것이 있었고 바닥에 둥근
자갈
이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그때 마침 이 신문기사를 읽은 어린이대공원의 사육사 한분이 "사진은 어린이대공원에서 찍은 것"이라고 증언했다. 확인해 보니 어린이대공원 호랑이가 틀림없었다.국내에서 자취를 ... ...
대분화를 일으킨 세계의 화산
과학동아
l
198804
논을 일구어 마을을 이루고 살아왔기 때문이다.화산기슭이라하면 흔히 누적된 화산
자갈
과 황량한 용암벌을 생각하게 되고 자바섬의 아름다운 계단식논을 상상하기는 어렵다. 그런곳에 한번 분화가 일어나면 그 한가롭던 전원이 라하르가 날뛰는 지옥으로 변해 버리는 것이다.분연을 높이 뿜어 ... ...
PART II 간척·항만건설·조력발전 등 개발의 명암
과학동아
l
198804
모래가 약 39억m³부존되어 있고 그중 약 20%인 7.8억m³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며,
자갈
은 약 10억m³가 부존된 것으로 추정조사되고 있다.90년대나 개발될 조력발전 연안에서 해수위(海水位)는 달의 공전주기인 24시간50분28초 동안에 2회에 걸처 상·하운동을 반복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달의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02
수 있다. 섬 전체가 이 펭귄의 서식지. 봄이 오면 높은 곳의 눈이 먼저 녹는 산꼭대기에서
자갈
을 모아 만든 보금자리에 알을 낳은 펭귄이 가장 먼저 알을 부화시킨다. 아델리섬은 한국과학기지에서도 직선 바닷길로 10km 떨어진 거리에 있다. 킹조지섬 일대의 여러 섬들에도 물개 바다표범의 집단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12
수 없다. 물이 맑다고 해도 먹이가 없는 물에는 살 수 없으며 강바닥을 긁어 올려 모래와
자갈
을 채취한 먹이가 줄어든 준설 공사 직후의 하천보다는 먹이가 풍부한 오래된 저수지(주남)나 하천과 지류(낙동강 죽림강 지류)등지에 몰려들게된다. 그러나 앞으로 한강도 점차 안정된 생태계의 하천으로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07
쌓인 음지에서 뿌리를 얇게 뻗고 자라기 때문에 화단에 심을 때는 물이 잘 빠지도록
자갈
위에 심어야 죽지 않는다. 이외에도 닭의난초는 부엽이 두텁게 쌓인 습지에서 잡초와 함께, 나리난초는 활엽수림 아래의 부엽토에서, 감자난초 약난초 등은 산골짜기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자생하고 있으므로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07
이 산호초가 한번 죽어버리면 바다밑바닥으로 허물어져내려 마치 기와조각이나
자갈
무더기가 쌓인 산처럼 된다. 바다물은 흐려지고 작은 고기들은 모여들지않게되어 이윽고 생물이 살지않는 바다가 되어버린다. 방파제로서의 힘도 없어져 지금까지 지켜주던 섬이 격랑에 씻겨가도 아무역할을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07
거친 물은 미세한 찌거기를 걸러내는 여과지로 드어간다. 여과지에는 맨 밑바닥에서부터
자갈
모래 흡착력이 강한 굵은 활성탄가루가 차례로 깔려있다. 이 곳을 통과한 물은 맑기가 0.3~0.8ppm으로 산골짜기의 물보다 맑아진 것이라 한다. 깨끗한 물은 염소 멸균실의 소독을 거쳐 배수지로 간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