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류
부문
낱개
가닥
가락
유형
양식
d라이브러리
"
갈래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여러 분야의 관심사다.따라서 정통생명과학의 길 외에도 생명과학과 관련해서 수많은
갈래
길이 있다.생명과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이는 우선 자신이 생명과학이란 학문이 얼마나 다양하고 복잡한지를 이해하고 자신의 관심사를 구체적으로 찾아갈 필요가 있다.어떤 분야의 전문연구자가 되고 ... ...
갈릴레이 뛰어넘기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지구의 하나뿐인 위성.달은 밤하늘에서 만나는 가장 가깝고 흥미로운 천체다.사람들은 맨눈으로도 보이는 달의 밝고 어두운 무늬에서 토끼 ... 주위로는 '광조'라 불리는 빛줄기가 만들어지는데,이것은 크레이터를 중심으로 여러
갈래
로 뻗어나가는 무늬이며 보름달일 때 가장 잘 보인다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1921년 쉬테른과 게를라흐는 균일하지 않은 자기장을 통과한 전자빔이 정확히 두
갈래
로 갈라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1925년 울렌벡과 굿스미트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스핀 각운동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파울리는 배타원리를 써서 새로운 양자역학의 틀 안에 스핀 각운동량이 매우 자연스럽게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근처 은하수 속에 말 모습과 닮아 ‘은하흑마’(Galactic Dark Horse)로 불리는 거대한
갈래
이다. 이것은 하늘만 어둡다면 맨눈에도 쉽게 보일 만큼 큰 암흑성운인데, 흑마의 가장 어두운 부분인 뒷다리와 엉덩이 영역은 담배파이프와도 비슷해서 ‘파이프 성운’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눈으로 보기는 ...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현생인류로 진화해 왔다. 또다른 하나는 7만년 전에 나타나기 시작한 네안데르탈사람의
갈래
로, 아마도 빙하가 발달한 유럽에서 중동아시아로 이주했으리라고 짐작된다.스쿨과 타분 유적의 연대도 수정됐다. 슬기사람이 이곳에서 10만년-12만년 전에 살았다는 점이 밝혀진 것이다. 그렇다면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사람의 한
갈래
였으며, 빙하기가 끝나고 신석기시대에 들어서면서 한반도에 고립된 이
갈래
에 새로운 유전인자가 유입돼 한국인이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추측된다. 이들이 지닌 체질상 특징은 청동기시대로 이어졌으며 이후 이웃하는 다른 집단과 비교적 오랫동안 떨어져 하나의 독특한 유전집단을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좌우상하의 두 수열이 교차하는 십자형이지만, 교차하는 수열을 늘려 여섯
갈래
, 여덟
갈래
의 방사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4각진은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4개의 숫자합이 일정하게 배열된 구조다. 전체적인 모양은 사다리꼴이 십자형으로 교차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6각진은 지수귀문도로 잘 알려져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쿠푸왕의 피라미드 경우 묘실로 가는 통로가 중간에 두
갈래
로 갈라지는데 이 가운데 한
갈래
는 지하로 이어진다. 이것은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땅 속의 가짜 묘실로 인도하는 일종의 속임수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미라를 땅 속에 묻던 방식의 잔재이기도 하다. 위대한 파라오 쿠푸는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있다.여름의 은하수는 북쪽의 카시오페이아자리를 거쳐 천정의 백조자리를 지나면서 두
갈래
로 나누어진다. 그 중 한쪽은 방패자리와 궁수자리로 흐르고, 다른 한쪽은 뱀주인자리와 전갈자리를 거친 다음 이 둘이 다시 합쳐지면서 지평선 아래로 흘러간다. 특히 궁수자리 근처의 은하수는 밝고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사람을 제비 같다고 하는 것도 제비의 유선형 모습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특히 끝이 두
갈래
로 갈라진 꼬리 깃털은 비행기의 뒷날개처럼 정교하고 미세한 비행을 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꼬리를 잘라버린 제비들은 비행능력이 떨어져 먹이를 구하는데 드는 시간이 보통 때보다 월등히 많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