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갈래"(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고 아리에게 조심스럽게 제안한다.“우리 이제 다른 행성으로 떠나려고 하는데 같이 갈래? 서울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은데, 그래도 괜찮은 곳이야.” 한참 전 아버지를, 일 년 전 어머니를 세상에서 떠나보낸 2049년의 아리는 ★★를 처음 만났던 때의 아리보다도 혼자였다. 그녀를 잡아 둘 것은 ...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없어 눈에 잘 띄지 않는 폐쇄화를 피워요. 폐쇄화는 열매를 만들어 내는데, 열매가 세 갈래로 갈라지면서 열매 안에 든 씨앗들이 멀리 퍼져요. 제비꽃은 잎 모양도 계속 변합니다. 특히 털제비꽃의 잎은 원 또는 계란 모양에서 하트 모양이나 넓은 삼각형으로 변하지요. 산에 여러 번 오르며 제비꽃의 ...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태양에서 쏟아진 햇빛 줄기가 식물의 거대한 푸른 잎 위에서 반짝이며 부서졌고, 다섯 갈래 꽃잎 사이로 호박벌이 머리를 집어넣고 엉덩이를 씰룩대는 모습도 봤다. 아마도 책에서 읽고 상상했던 것들이 꿈이라는 형태로 구현된 것이리라. 선은 꿈속의 자신에게 친구가 있었다는 점이 가장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RT-2 ⎪ 단어를 이해하는 협동로봇현재 로봇 트렌드는 형태를 기준으로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휴머노이드 로봇, 4족보행 로봇 등 주행로봇과 로봇팔로 대표되는 협동로봇이다. 협동로봇의 주요 특징은 인간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장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던 기존 산업 로봇은 ...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강이 시작되는 수원을 정하는 과정은 복잡합니다. 강은 바다로 흘러가는 동안 여러 갈래(지류)로 나뉘어요. 중앙에 있는 크고 넓은 지류를 따를지, 측면의 작고 좁은 지류를 따를지, 일 년 내내 물이 흐르는 지류만 인정할지, 건기에 물이 마르는 지류도 포함할지에 대해 과학자마다 견해가 다르지요. ... ...
- [논문탐독] 확장현실 몰입감을 끌어올리다, 감각 증강 시스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감각하도록 돕는 방법을 제시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이런 방법들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시각적인 조작으로 생기는 착시 효과를 공기 저항, 무게감 등의 감각으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VR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어떤 가상 물체를 들어올린다고 생각해보죠.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누구든 보고 읽고 또 쓸 수 있다. 편의성을 높인 고급 언어는 나무에 줄기가 여러 갈래로 뻗어 나가듯 다양한 지향을 갖고 발전해 나갔다. 실수 줄이려 다시 만난 세계, 람다와 튜링 1962년 7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최초의 행성 탐사선, 마리너 1호를 발사했다. 마리너 1호의 임무는 금성을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는 어떤 미로 안에서 길을 찾는 일입니다.” 남 교수는 이산화탄소 환원을 여러 갈래의 길을 끊임없이 살펴야 목표 지점에 도달하는 미로 찾기에 빗댔다. 어떤 촉매를 사용하고, 또 어떻게 제어하는지에 따라 만들어지는 화합물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화학 반응 중에 형성되는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전체 시위대를 분열시켰다. 결국 시위대는 AI 일부 보존파와 AI 완전 제거파 등 여러 갈래로 분열됐고, 서로를 탓하다 끝내 해산하고 말았다.여기서 멈췄더라면 AI는 조용한 스카이넷 그 자체였을 것이다. AI는 효율적인 에너지 시스템으로 지구 환경을 복원했으며, 효율적인 식량 분배로 기아를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게끔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해요. 문제 하나를 풀더라도 여러 갈래 풀이가 있거든요. 정석적인 풀이도 있지만, 특정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면 더 빨리 풀 수 있지요. 예를 들어 지수함수와 로그함수가 y = x 대칭이라는 것을 모르면 각 함수의 특징에 대한 문제를 풀 때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