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학습법 중 복잡하게 얽힌 사람의
뇌
속 신경망 구조를 모방한 방법입니다. 사람의
뇌
가 생각하고 빠르게 판단하는 과정처럼 딥러닝 컴퓨터는 수많은 데이터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빠르게 구분하지요. 딥러닝으로 학습한 인공지능은 머신러닝의 다른 기법으로 학습한 인공지능보다 ... ...
[융복합@파트너] 우리 몸속의 시계, 일주기 리듬으로 더 나은 사회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시도해 보고 있다”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우리가 실생활에서 느끼는 것들에 어떤
뇌
과학적 의미가 있는지 밝히고 싶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
[과학 뉴스] 다리가 마비된 환자들, 걷게 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신경계로,
뇌
에서 내린 명령을 몸통이나 팔다리에 전달해주고 몸에서 느낀 감각을 다시
뇌
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척수를 다치면 몸을 움직이기 어렵고 감각도 사라지죠. 연구팀은 우선 척수 환자 3명을 모았습니다. 이들은 척수 중 다리와 신호를 주고받는 부위를 다쳐 걷지 못하고 있었지요. ... ...
완치자는 아직 시달리고 있지만… 코로나19 후유증 특별한 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이때 경미한 증상을 보였던 환자조차도
뇌
에 변화가 나타났다. 무증상 감염자도
뇌
에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두오드 교수는 “코로나19 후유증으로 후각 경로나 신경계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후각 상실을 원인으로 한 퇴행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후유증은 심장에도 찾아올 ... ...
[SF소설] AI 마이너스 알츠하이머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진전될수록
뇌
의 상태도 변하는 거라서 성격도 변한다고 하더라고요. 질병이 사람의
뇌
와 성격을 변화시킨다는 건….”“누군가의 원래 삶을 따라가면서 추적하고, 더듬어서 어느 건 알츠하이머의 영향 탓이고, 어느 건 아닌지 알기가 훨씬 어려워졌다는 거죠.”“네. 그리고 우리 할머니는 진단 ... ...
‘으른’들이 자주 하는 거짓말은?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신경학’에 발표했습니다. 처음 거짓말을 하면 편도체 활동량이 급증했습니다. 편도체는
뇌
에서 감정을 처리하는 곳으로, 거짓말할 때 활성화 되는 부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할수록 편도체 활동량이 둔감해진다는 것이 확인됐죠. 훗, 직장 생활 7년 차인 기자의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삼성전자에서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기계학습인 ‘딥러닝’을 연구했지요. 사람의
뇌
속 신경망 구조를 모방한 딥러닝을 컴퓨터에 내장하면 데이터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구분할 수 있거든요. 자율주행차가 앞의 장애물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고 움직여야 해서 딥러닝은 자율주행차의 ... ...
뇌
과학으로 본 '마기꾼' 효과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진정으로 코로나19 이후에 새로 생겨난 효과일 수 있다. 팬데믹을 겪은 우리의
뇌
가 마스크를 쓴 것이 더 건강하고 안전하다는 것을 알기에 이제 마스크를 쓴 얼굴을 더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이 아닐까 ... ...
학생들이 자주 하는 거짓말은?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AI)으로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분석해 거짓말을 탐지할 수 있다는 연구를 국제학술지 ‘
뇌
와 행동’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의 얼굴에 전극을 부착해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거짓말을 할 때 눈썹 사이 근육과 뺨 근육 두 곳이 미세하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신경과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
과학과 교수로 후각을 이용한 질병 진단 및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나는 향기가 보여요’가 있다.cmoon@dgist.ac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