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쿤달] 제조기│우주에 없던 향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우주에서 바라본, 우주에서 기억하는 지구의 향을 만들어 보자는 의견이 나왔다. 냄새는 뇌로 하여금 과거를 떠올리고 추억하게 하는 대표적인 매개체다. 만약 먼 미래에 지구를 떠나면서 지구를 기억할 매개체 하나를 가져간다면, 향기가 가장 적합해 보였다.곧이어 ‘창백한 푸른 점’이란 단어가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어 분석하는 것이다. 서 교수는 “형광 이미징 기술을 활용해 뇌를 분석하는 한 학생은 뇌의 활성을 이미지화할 때 사용하는 빨간색, 녹색, 파란색이 앙리 마티스의 작품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점을 들어 마티즈의 그림과 자신의 연구가 유사하다고 분석했다”고 했다. 그는 “이런 과정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껍질까지 100% 활용한다! 귤껍질 향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느껴지고, 어떨 때는 악취로 느껴지는 걸까요?작년 12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김규형·문제일 교수팀은 같은 냄새가 나는 물질이라도 농도에 따라 동물이 향기 또는 악취로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디메틸트리설파이드(DMTS)라는 황화합물의 농도를 ...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신경과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로 후각을 이용한 질병 진단 및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나는 향기가 보여요’가 있다.cmoon@dgist.ac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꾼 에릭 왕자를 구해 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동그란 이유는?우리가 세상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작은 창문인 눈은 시각정보를 모아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눈은 극히 일부이며, 사실 눈은 탁구공 정도의 크기죠. 만약 눈이 공 모양이 아니고 찌그러져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망막에 상이 제대로 맺히지 못해 사물이 여러 ... ...
- [탐험대학] 당신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응원합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이용한 게임 컨트롤러를 제작한 이형진 군(경기 파주 교하고 2) 팀은 이날 발표에서 직접 뇌파로 게임을 조작하는 모습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군은 “팀원간 학교가 다르고 코로나19로 시험도 미뤄져 시간이 빠듯했지만, 좋은 결과를 얻게 돼 기쁘다”고 참여 소감을 밝혔다. 두 팀은 모두 최우수상을 ... ...
- [특집] 붉은 여왕이 알려준다! 거울 속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물체에서 나온 빛이 거울에 닿으면 거울 표면에서 반사돼 우리 눈으로 들어와요. 사람의 뇌는 빛이 앞으로만 나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거울 안의 물체에서 빛이 나온다고 착각해요. 하지만 거울에 보이는 물체는 실제 물체가 반사된 것일 뿐이지요. 그래서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을 허상이라고 ... ...
- [과학뉴스] 기억력 3초 오해는 그만, 금붕어는 운전도 한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운전해 목표 지점에 도달하도록 훈련시키는 데 성공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ʻ행동 뇌 연구’ 2월 15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bbr.2021.113711 세계 최초로 운전에 성공한 금붕어의 탄생 과정을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바퀴 달린 어항이 무엇인가.연구팀이 우리(금붕어)를 위해 직접 ...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도파민의 여왕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세우고 노력하는 건 무척 텁텁한 일입니다. 그래서 우리 뇌에는 이 과정에 즐거움을 부여하는 물질이 있습니다. 바로 도파민이란 신경전달물질이죠. 도파민 분비를 돕는 행동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마침 백종숙(백종원 아님) 씨가 맛있는 음식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 같으니 함께 ... ...
-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기원을 추적했다. 최신 연구를 종합해 인간을 인간이게 한 특성을 정리했다. 보행이나 큰 뇌, 잡식성, 도구 사용 등 비교적 익숙한 인간의 특성을 하나씩 지나다 보면 책은 어느새 마지막 챕터 ‘다양성’에 도착한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여러 조상 집단의 다양한 ‘섞임’의 결과로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