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과정에 들어가 뇌 기반 인공지능을 공부했어요. 박사 과정 중 의사가 적은 양의 의학 데이터로도 빠르게 환자의 병을 진단할 수 있는 AI 모형을 만들었지요. 의사과학자는 환자에게 필요한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과학자나 기존에 잘 알려진 의학 지식을 사용해 환자를 치료하는 ...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과학동아 l2023년 06호
-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투구 위치, 심판의 판정 등 1만 8907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실제 투구 결과와 비교했다. 투구가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는 메이저리그의 투구 추적 기술을 통해 확인했다. 그리고 판정 정확도에 심판의 나이, 경력, 기온 등 어떤 요소가 영향을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서 말을 꿰어 보배로 만드는 일 같아서 매력적이었어요. 이후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해보고 싶어서 큰 제조사로 이직했어요. 하지만 스마트팩토리 부서에 배정받진 못했어요. 그래도 기구개발 부서에서 첫 폴더블폰 개발에 참여했어요. 제품의 개발, 생산 과정과 임직원이 10만 명인 ... ...
- [특집]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발생하지 않아 지진 관련 데이터가 부족하기에 지진 발생 시기를 예상하기 어렵다”며 “데이터를 보충할 수 있는 고지진 연구가 중요하다”고 말했죠. ‘고지진’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선사시대 이전까지의 지진입니다. 역사에도 없는 고지진, 땅에는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논 5m를 ...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결과가 다르다니 김수환 버전이 높아질수록 수학을 더 잘하나요? 박지훈 교사 학습된 데이터양이 많은 챗GPT 플러스가 수학 문제를 훨씬 잘 푸네요. 2022년 11월에 챗GPT가 나왔는데 불과 4개월 만에 플러스가 나왔어요. 그래서 챗GPT가 얼마나 문제를 잘 풀지는 중요치 않아요. 점점 더 잘 풀 거니까요.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또 거짓 정보를 진짜인 것처럼 이야기하는 환각 현상도 일으켜요. 챗GPT는 학습한 많은 데이터에서 단어의 관계성만을 분석해 답변을 내기 때문입니다. 이용자가 거짓된 정보를 학습시킨다면 여론 조작, 편견 조장 등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어요. ┗>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반론 박강우 GPT-4부터 ... ...
- [에디터 노트] 그저 그렇지 않은 화성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하지만 10년 넘게 과학동아를 팔아 온 마케팅센터장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붉은 화성이 등장하는 과학동아 표지는 서점 판매가 특히 저조했다는 겁니다. 어디선가 본 듯한 이미지엔 독자들의 손이 가질 않는다는 뜻입니다. 결국 붉은 행성 표지를 과감히 바꿨습니다. 그저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자세제어시스템을 검증한다. 또 카이로스페이스의 큐브위성은 한반도 지표면의 편광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성이 고장나거나 임무를 종료하면 자동으로 궤도이탈 후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하는 기술을 실증한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누리호 3호기 3단의 맨 윗부분에 장착된다. 나머지 큐브위성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지도 생각해봐야 한다. 류 교수는 “오늘날 소프트웨어는 많은 데이터와 큰 계산능력을 요구한다”며 “이런 거대 컴퓨팅 파워가 특정 국가와 특정 기업에 몰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소프트웨어적 자산이 독점화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또 거대화된 소프트웨어는 탄소를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언어 모형의 실효성은 지켜봐야 하지요. Q. 챗GPT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챗GPT는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떤 질문에도 그럴싸한 답변을 해줘요. 말 그대로 그럴싸한 문장을 만들어준다는 점 때문에 사실 관계에 기반한 내용을 물어보면 틀릴 수도 있지요. 이를 ‘환각(hallucination)’이라고 해요.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