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천만 개가 넘는 은하를 관측합니다. 현대 천문학은 방대한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사이언스로 진화했습니다. 저 역시 논문 한 편에서 은하 1만 여 개를, 또 다른 논문에서는 은하 3만여 개를 분석했습니다. Q. 은하 연구를 하면서 동시에 대중과도 활발하게 소통하고 계신데 계기가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서 말을 꿰어 보배로 만드는 일 같아서 매력적이었어요. 이후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해보고 싶어서 큰 제조사로 이직했어요. 하지만 스마트팩토리 부서에 배정받진 못했어요. 그래도 기구개발 부서에서 첫 폴더블폰 개발에 참여했어요. 제품의 개발, 생산 과정과 임직원이 10만 명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몇 초부터 최대 10분 이내의 짧은 길이의 영상을 뜻합니다. 2022년 7월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에이아이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2022년 1월~3월) 전 세계 틱톡 이용자가 한 달 동안 평균 23.6시간을 틱톡에서 보낸 것으로 나타났어요. 유튜브 쇼츠는 하루 평균 300억 회의 조회 수를 기록했고, ...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결과가 다르다니 김수환 버전이 높아질수록 수학을 더 잘하나요? 박지훈 교사 학습된 데이터양이 많은 챗GPT 플러스가 수학 문제를 훨씬 잘 푸네요. 2022년 11월에 챗GPT가 나왔는데 불과 4개월 만에 플러스가 나왔어요. 그래서 챗GPT가 얼마나 문제를 잘 풀지는 중요치 않아요. 점점 더 잘 풀 거니까요.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답변했지요. 이 문제 외에도 3개의 문제를 풀어보게 했는데 다른 문제들도 원래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쓴 거지 직접 풀었다고 하긴 어려워요. 물론 ‘문제를 푼다’는 정의 자체가 불분명하긴 해요. 우리도 예전에 비슷한 문제를 본 적이 있어야 다른 문제를 풀 수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저는 ... ...
- 물리적으로 그네타는 궁극의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동작을 평균 약 7ms(밀리초는 1000분의 1초)씩 더 빠르게 했다. 이렇게 모션을 캡처한 데이터는 연구팀이 과거의 두 모델을 조합해 만든 새로운 모델과도 정확히 일치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네를 탈 때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초기 위상과 주파수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doi: 10.1038/s41550-020-01290-z 연구팀은 NASA의 마스 오디세이, 화성 정찰 궤도선 등이 수집한 데이터 20년 치를 분석해 이 같은 지도를 만들었다. 땅속에 물이 묻혀있는지 아닌지 알아내려면 간접적인 증거를 살펴봐야 한다. 유독 땅 근처 수소 농도가 높거나, 표면에서 온도 변화가 특수한 패턴을 보이면 그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지도 생각해봐야 한다. 류 교수는 “오늘날 소프트웨어는 많은 데이터와 큰 계산능력을 요구한다”며 “이런 거대 컴퓨팅 파워가 특정 국가와 특정 기업에 몰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소프트웨어적 자산이 독점화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또 거대화된 소프트웨어는 탄소를 ... ...
- AI 시대에 알맞은 수학 공부법, 비판적 사고와 질문하기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데이터를 분석한 ‘한국 정보화 진흥원 소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가장 연관성 높은 데이터는 ‘수학 숙제’로 나타났습니다. 수학 문제집 이름이 그다음이었고, ‘솔직히’, ‘어려워’ 같은 감정 표현, 성적표가 뒤를 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AI 때문에 이런 편견이 점점 변할 거예요. AI가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과정에 들어가 뇌 기반 인공지능을 공부했어요. 박사 과정 중 의사가 적은 양의 의학 데이터로도 빠르게 환자의 병을 진단할 수 있는 AI 모형을 만들었지요. 의사과학자는 환자에게 필요한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과학자나 기존에 잘 알려진 의학 지식을 사용해 환자를 치료하는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