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
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다.
면역
관용 시스템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 류머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질환을 유발한다. 비활성 상태의 성숙한 B림프구는 수지상세포나 도움 T림프구의 작용으로 항원 정보를 받아 활성화돼야만 항체를 만들 수 있다. 항원 정보를 전달받은 B림프구 중 일부는 항체를 생산해 항원을 ... ...
무조건 막는다,
면역
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임계점에 도달하지 못한 변종은 처리할 수 있다. 이런 능력을 갖춘 사람이 많아 집단
면역
이 형성됐다면 신종으로 재정의해야 할 만큼 강한 변종의 등장을 늦출 수 있다. 물론 어떠한 노력에도 막을 수 없는 신종 바이러스가 출현할 수 있는 위험도 늘 우리의 삶과 함께할 것이다 ... ...
1996년
면역
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면역
학에 대한 고정관념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이 영광을 자연과 질병에 관한 기초 원리를 찾고 있는 모든 기초 과학자들에게 돌리고 싶다”고 말했다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단백질 백신에 속한다. VLP 백신은
면역
반응 유도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세포 매개
면역
반응까지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안전성도 다른 단백질 백신만큼 신뢰할 수 있다. 단백질 백신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같은 새로운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적합하지 않은 구조여서 항체가 생성되더라도 HA 줄기와 결합하지 못할 수 있고, 이 경우
면역
력이 생기지 않는다는 한계에 봉착해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면서 만능 백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오늘날 개발되는 코로나19 백신은 대부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
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자연살해세포는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의 증식을 차단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하며, 선천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식세포들이 바이러스 침입 부위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용하는 환자들에게서만 발견되는 질환이었다. 그런데 이 환자는 이상하리만큼
면역
력이 결핍돼 있었고, T림프구 (T세포)의 수치가 현저히 떨어져 있었다. 1982년 이 질병은 에이즈로 명명됐다. 연구자들은 에이즈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성 접촉이나 혈액을 통해 감염된다고 추측했다. 당시 ... ...
1980년
면역
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식의 최대 난관은
면역
거부반응이다.
면역
거부반응은 수혜자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기증자의 장기가 염증을 일으키며 손상되는 현상이다. 현상 자체는 일찍이 1900년대 중반부터 알려져 있었다. 1930년대 유전학 연구를 시작한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스넬은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본격화됐다. 그러나 유정란 배양법엔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계란 속 단백질에 과도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사람에게는 접종할 수 없다는 점이다. 최근 세포배양 방식이 유정란 배양법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포배양 방식은 바이러스를 원숭이나 개와 같은 동물의 세포에 감염시켜 증식시킨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