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병원체"(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생리·의학상/프루시너과학동아 l1997년 11호
- 한다.아직까지 많은 학자들은 뇌질환에서 프리온이 중요한 역할은 하지만 직접적인 병원체는 아니라고 믿고 있다.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여러 의문점이 밝혀진다면 또하나의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하리라 ... ...
- 집파리·모기·바퀴벌레의 사생활과학동아 l1997년 08호
- 구석에서 보낸다.바퀴벌레는 잡식성이기 때문에 사람이 먹는 음식은 거의 모두 먹는다. 병원체를 지닌 바퀴벌레가 몸통, 오물, 토해내는 물질을 통해 사람의 음식물을 오염시킨다. 책이나 벽지, 섬유류, 피복같은 비식품 물질도 마구 먹는다.바퀴벌레의 알은 딱딱한 주머니 속에 두줄로 나란히 ... ...
- 히틀러 벙커과학동아 l1997년 02호
- 크기가 조금 크다 발진티푸스, 쓰쓰가무시병 등을 옮긴다 리케차 외에도 미생물병원체에는 곰팡이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있다 곰팡이는 균사를 갖고 있는 생물인데, 핵막이 있는 진핵생물에 포함된다 박테리아는 흔히 세균이라고 불리는 단세포 생물인데, 핵막이 없는 원핵생물에 포함된다 ... ...
- 유전자 전쟁 위험 경고과학동아 l1997년 01호
- 사용될 수 있는 기술’로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과학자들은 적군에게만 감염되도록 병원체나 독물을 개발하는데 유전공학이 사용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나타냈다.그러나 러시아와 인도는 ‘유전공학의 무기화’를 제재하자는 의견에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컨벤션의 결의 사항을 ... ...
- 바이러스와의 영원한 전쟁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세포를 숙주세포로 삼아 그 안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크기가 작고 성분이 간단한 감염성 병원체.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세포의 외부에서는 휴면입자로 존재하나 적당한 숙주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산하기 위해 숙주세포의 대사활동을 파괴할 수 있는 활성을 갖게 된다. 즉 ...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이유로 ... ...
- 손상된 뇌조직, 자신의 면역세포로 고친다?과학동아 l1996년 11호
- 모른다. 이스라엘 바이츠만 과학연구소의 쉬바르츠 박사는 쥐의 대식세포(macrophage, 병원체를 1차적으로 파괴시키는 면역세포)가 쥐의 절단된 시신경을 회복시킨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 현상이 인간에게도 적용되지 않을까.어류나 양서류의 경우 중추신경계가 손상될 때 재생이 가능하다. 그곳에서 ... ...
- 꼬마자동차 소저너과학동아 l1996년 11호
- 해류 등의 영향으로 해안에 정착하지 않고 표류하는 해빙(海氷)유행성 감기를 일으키는 병원체로서 바이러스(혹은 비루스)의 일종 A형 B형 C형이 밝혀져 있지만, 그 각형마다 새로운 변종이 나타나고 있다2개의 초전도체 사이에 거리를 수nm(1nm=${10}^{-6}$mm)정도로 접근시키면, 초전도체끼리 접촉되어 ... ...
- 생리·의학상/도어티, 친커나겔과학동아 l1996년 11호
- 예를 들어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병이 회복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같은 병원체가 새로 침투했을 때 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짧은 글이 과학도를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면역학적 기억이라는 중요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
- 3. 사이버닥터가 진단한 인터넷 신드롬과학동아 l1996년 09호
- 보급은 참으로 많은 진단명(?)을 만들어냈다. 얼마전까지는 ‘컴맹’ 이라는 ‘신종 병원체’ 감염에 의한 ‘컴퓨터 공포증’ 이 만연했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의 모 회사에서 컴퓨터를 잘 다루는 직원이 그렇지 못한 직원보다 15%정도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는 발표가 나온 후 더욱 더 고조되기도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