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d라이브러리
"
병원체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 현미경이 밝혀낸 바이러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병원체
란 극히 작은 것으로 그중에서도 바이러스는 웬만한 현미경으로도 발견할 수 없다. 최초로 바이러스를 발견한 과학자들을 소개한다.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오해저드(biohazard)에 대비한 클린룸이다. 바이오해저드란
병원체
나 이에 감염된 동물의 연구가 인간 및 생태계에 주는 생물재해를 말한다. 유전공학, 실험동물 실험실, 원자력 시설 등에 적용되며 생물용 클린룸은 외부의 미생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비해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전자현미경을 통한 관찰도 결코 용이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처음에 학자들이 그
병원체
를 바이러스로 보았던 까닭은 이렇다. 우선 당시의 과학적인 상식으로는 단순한 단백질이 질병을 일으킬 수 없었다. 또 설령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만으로 질병에 걸릴 수 있다 하더라도 이 단백질덩어리가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이보다는 각종 전염병을 매개하는 간접적 피해가 더 크다. 즉 음식물을 이동하면서
병원체
가 섞여있는 물질들을 전파시키기도 하며 일단 섭취한 먹이를 토해내는 습성으로 매개능력을 높이기도 한다. 바퀴는 주로 밤에 활동하며 구석진 곳을 좋아한다. 특이한 생식방법으로 암컷은 난협이라고 하는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된다. 이렇게 기억장소에 들어간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사용자 몰래 다른 디스크에 마치
병원체
(virus)처럼 자신을 복제해버린다. 또한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자기 자신을 복제할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작용도 같이 가지고 있다.이 부작용의 성질에 따라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크게 양성 바이러스와 악성 ... ...
만성간질환의 위험신호 C형간염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침팬지에 감염시켜 고(高)농도의 원인 바이러스를 얻어 냈다. 그뒤 이를 이용해
병원체
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에 착수했다. 유전자재 조합방법으로 cDNA(보조 DNA) 클론(clone)을 만들어서 그 구조를 분석, 간접적으로 바이러스의 구조를 알아낸 것이다.그 정체는 RNA바이러스였고 지방질막으로 둘러싸여 ... ...
AIDS가 남긴 숙제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疫学)적 임상적 병리학적으로 정의되기에 이르렀고, 원인이 밝혀졌다. 특히 1984년에는
병원체
가 동정되었고 최초의 치료제인 AZT가 그 효능을 타진했다.이 작업들을 가능케 한 주역은 최근 놀랄만큼 발전한 면역학과 분자생물학이었다. 만약 AIDS가 60년대에 유행했다면 70년대에도 그 원인조차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관계되는 에피소드같은 경험담 하나를 소개한다. 학자들은 보통 자기가 발견한 병이나
병원체
이름에 자기 이름이나 조국의 이름을 넣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예를 들면 일본뇌염 볼리비아출혈열 가와사키병 등이 있다.그러나 정치가나 외교관들의 해석은 다른 것 같다. 1981년 나는 일본 정부 ... ...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나이지리아의 벽지 라사에서 1969년에 최초로 보고된 건기에 간헐적으로 유행하는 열병.
병원체
는 RNA 바이러스로 들쥐가 매개한다. 일본에서는 법정전염병에 준하여 다룬다)이 상륙하였다하여 초비상이 걸린 이후 지금 대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아프리카 열병 라사열이 상륙한 일본의 경우88년 3월2 ... ...
실험실의 복병, 생물재해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병원성 미생물을 투여했을 경우에도 일어나지만 일견 외형상 정상적인 동물이 위험한
병원체
를 가지고 있을 경우도 생물재해는 발생할 수 있다. 후자에 있어서는 동물이 무증상이기 때문에 실험자는 별로 주의하지 않고 있을 경우가 많으므로 생각하지도 못한 대형사고가 무방비의 실험자에게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