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홍대용과 그의 지전설이었다. ❋필자소개김슬기.
서울
대 과학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friends1133@naver ... ...
[만화뉴스] 마스크가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늘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음식 용기 등에 다양하게 쓰이는 폴리프로필렌(PP) 성분이 높은 비중으로 발견됐어요.
서울
대학교 정수종 교수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사용된 마스크가 햇빛을 받아 분해되면서 마스크에 들어 있던 플라스틱 조각이 공기 중으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0호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11번째 탐사대원들을 맞았습니다. 4월 15일
서울
노원구
서울
여자대학교 대강당에서 탐사 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발대식이 열렸어요. 탐사대원 9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발대식은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직접 만나 의미가 컸지요. 지난 2013년부터 해마다 기수별로 운영된 ...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
수학동아
l
2023년 10호
머릿속에서 잊어버릴 수 있죠.” "타오 교수는 사회에 이바지하고 싶어 하는 학자예요"
서울
대학교 류경석 수리과학부 교수 이번 타오 교수의 한국 일정을 제가 관리하며 그와 대화할 기회가 많이 있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학자의 역할은 본인의 연구와 학술 활동을 통해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 ...
[특집] 쓰임 다한 배터리가 모이는 곳 미래폐자원 거점수거 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개 거쳐가 기자가 방문한 수도권 미래폐자원거점수거센터(이하 수거센터)의 배터리들은
서울
과 인천, 경기, 강원 지역에서 발생한 것들입니다. 수거센터 안으로 들어가니 반납된 배터리들을 지게차로 나를 수 있는 넓은 공간(반입검사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이곳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사용 후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 노오란 마리골드 꽃이 피었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한 해 중 가을을 맞이하는 중이었다.❋필자소개정대호. 연암대 스마트원예계열 교수로
서울
대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식물 광합성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jdhenv@yonam.ac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많으면 각각의 별을 구분하기는 오히려 어렵습니다. 그냥 큰 덩어리일 뿐이죠. 그에 비해
서울
밤하늘은 요점 정리가 잘 돼있는 셈이죠. 하하!”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별을 보고 이야기해온 이 박사는 자신의 출발점과도 같은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 책의 개정판 작업을 하며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비해 상대적으로 머리가 크고 지구력이 떨어져 승마에 부적합하다는 사실! 영상을 보니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세로가 보고 싶네요. 세로야, 잘 지내지? 한강을 가득 채운 수십억 마리의 정체불명 생명체들. 빛을 보면 더 모여드는 이 생명체의 정체는 바로 갯지렁이예요. 한강에는 바다에서 ... ...
[숫자로 보는 뉴스] 농게 눈 닮았네! 360° 찍는 카메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아이디어를 얻은 동그란 공 모양 카메라가 개발됐어요.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부산대,
서울
대 연구진이 모여 연구한 결과이지요. 생물이 가진 능력을 본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생체 모방’이라고 해요. 농게는 갯벌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게로, 몸통의 길이는 약 2cm예요. 한쪽만 큰 집게발을 ... ...
문제 채점을 협상으로 한다!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풀 당시 대표들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부단장으로 참가한 유화종
서울
대 교수는 “학생 대표가 쓴 내용을 이해하는 데 3시간이 걸렸다”고 했어요. 코디네이션에 들어가는 사람들은 점수 확정 전에 국가대표와 문제에 대해 이야기 나눌 수 없어요. 그런 뒤 본격적으로 코디네이션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