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d라이브러리
"
싹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삐리삐리 웰컴 투 로봇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접목시키는 로봇이거든. 예를 들면, 튼튼하고 병충해에 강한 호박의 뿌리에 수박의 새
싹
을 접목시켜 튼튼한 뿌리로 더 맛있는 수박을 열리게 하는 거야.이 로봇 덕분에 힘을 덜 들이고 더 알찬 열매를 얻을 수 있게 됐단다. 로봇, 인간의 친구가 되다!멋진 로봇을 정신없이 보다 보니 어느덧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등의 봄꽃은 1960년대에는 보통 3월 18일쯤
싹
을 틔웠지만, 지금은 약 10일 빨라진 3월 8일쯤
싹
을 틔우고 있지.잠깐! 북극곰의 집도 녹아 내린다!여름이 지났으니 다행이라고? 북극곰들에게 가을은 더 이상 안심할 수 있는 계절이 아니야. 북극의 빙하는 보통 여름에 많이 녹고 가을이 되면서 점점 녹는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병든 식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잖아? 잎과 줄기의 단단한 섬유질을 우리들이 쓱
싹
쓱
싹
분해해서 바이오연료를 만드는 거야. 미래에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우리 곰팡이가 만든 에탄올로 달리는 자동차를 타고 다니겠지?지구의 청소부 곰팡이이제 우리 곰팡이가 하는 일 중 가장 위대한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760년 전이라고 나왔습니다.그런데 과피가 그렇게 딱딱하다면 자연상태에서 어떻게
싹
이 틀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고요? 물론 쉬운 일은 아닙니다. 토양미생물로 과피가 약화되거나 물결에 따라 여기저기 휩쓸려 가고 돌이나 바위에 부딪치면서 과피가 깎여나가고 깨지면서 안으로 물이 스며들어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성공한 기록이 있습니다. 1300년 전이면 당나라 시대인가요. 가장 오래된 씨앗은 2005년
싹
을 틔운 2000년 된 대추야자 씨앗입니다. 예수 시대의 유적을 발굴하다 찾아낸 씨앗을 이스라엘 과학자들이 발아시켰다는군요. 기후가 덥고 건조 하다보니 DNA 같은 생체분자를 파괴하는 활성산소의 발생이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감히 뉴턴과 아인슈타인에게 도전하다니, 학계에선 말도 안 되는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싹
무시하는 분위기였을까. 그랬다면 뉴욕타임스에 나오지도 않았을 게다. 199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제라드 토프트 교수는 “물리학자로의 나의 직관은 그의 이론을 고무적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높이면 탐침이 과열돼 구멍이 파괴될 것이다. 하지만 레이저를 따로 쏘자 이런 단점이
싹
사라졌다. 분해능도 정 연구원의 표현처럼 ‘주먹으로 물건을 만지던 수준에서 손가락 끝으로 만지는 수준’으로 높아졌다.나노광학연구실은 나노광학현미경 외에도 공초점 현미경이나, 전계발광 현미경 ... ...
토끼농장 에서 벌어진 엽기적인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친하게 지내던 짝꿍이 있었는데, 그녀가 시험에서 좀 더 나은 성적을 받자 이 친구가
싹
돌변했다. 반 아이들을 조종해서 그녀를 따돌리게 만들었다. 반 아이들은 처음에는 주저했지만 나중에는 그녀를 ‘왕따’시키는 데 한몫 거들었다.아이들의 세계에서 왕따는 지독한 형벌과 같다. 그녀는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피부에는 적어도 4종류의 서로 다른 세균과 여러 곰팡이를 포함한 미생물이 풍성하게
싹
을 틔운다. 코와 목, 상부 호흡기에는 적어도 6개 종 이상의 세균이 산다. 입에는 5~6개 종의 세균과 곰팡이가 잔뜩 살고 있다. 세균이 가장 많이 증식하는 곳은 뱃속이다. 장에 기생하고 있는 세균은 음식물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끝자락을 톡톡 끊어 먹을 뿐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런 풀들이 나중에 보면 더 빨리
싹
이 자라고 단단해진다. 풀들이 위험한 환경이라고 판단할수록 더 건강한 잎사귀를 생산해내기 때문이다. 왜 야생동물이 숲에 존재해야 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원종 남아 있는 지금, 복원 노력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