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생성 인공지능(AI)이 인간 대신 보고서를 작성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심지어 인간보다 더 잘해내기까지 한다. 인간보다 똑똑한 AI 탄생의 주역은 ‘대규모 언어모 ... 위해선 더 높은 임무 수행률과 외부 실세계와 보다 정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로봇
연구
가 더욱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8일 차인 2023년 12월 8일 국제 기후변화 정책 분석 전문기관인 저먼워치와 뉴클라이밋
연구
소, 클라이밋액션네트워크(CAN)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주요국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평가에서 유럽연합(EU)을 포함한 67개국 중 64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나라로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 이란,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산화탄소가 증가해 포유류가 살기 적합하지 않은 환경으로 변모하기 때문입니다.
연구
팀은 판게아 프록시마 시대의 지구에서 살아남는 동물은 40~70℃의 기온을 견딜 수 있는 냉혈 파충류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다이아몬드는 판게아 프록시마와 어떤 여행을 할까요. 여기서부터는 상상의 ... ...
[과학뉴스] 어린 티라노사우루스의 숨겨진 생존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성장 흔적이 없어 태어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아기 공룡인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
팀은 어린 고르고사우루스가 갓 태어난 시티페스 엘레간스를 사냥했고, 미처 다 소화시키지 못한 채 죽어 화석으로 만들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캐나다 캘거리대학교 젤레니츠키 교수는 “어린 ... ...
호우, 더 강해진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했지요. 실험 결과, 인간이 온실가스를 배출했을 때 호우 강도는 6%가량 증가했어요.
연구
팀은 “인간 활동으로 증가한 온실가스를 제외하고는 호우 강도가 증가한 것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라고 밝혔답니다 ... ...
업사이클드푸드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압착한 뒤 남은 유박을 그래놀라와 우유로 만드는 조리법을 공개했습니다. 김민영
연구
원은 “유박은 참깨 등 기본 형태로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살균이 필요 없다”며 “유박을 잘게 부수고 기름과 꿀을 넣어 구워주면 단백질바 등의 간식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유박을 12시간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좋아한답니다. Q. 생물 사진을 찍는 것도 좋아하나요? 생물을 직접 발견하고 생태를
연구
하는 것도 즐겁지만, 생물의 모습을 멋진 사진으로 남기는 것도 좋아해요. 제가 뽑은 2023년 베스트 사진은 등검은메뚜기와 넓적배사마귀입니다. Q. 다른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어과동 독자들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탱크처럼 무한궤도가 달려 있어 무거운 장비를 차체에 싣고 나를 수도 있답니다.
연구
팀은 유튜브를 통해 로봇이 쓰러진 환자 역할을 하는 마네킹에 접근해 마네킹의 상태를 살핀 후 주사를 꺼내 꽂는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을 선보였어요. 데이비드 킹 박사는 “이 로봇은 환자가 쓰러진 장소에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꼽히는 테렌스 타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 교수도 소수 관련
연구
의 업적을 인정 받아 2006년에 필즈상을 탔다. 리만 가설을 비롯한 정수론의 난제도 소수에 관한 문제가 많다. 정시우 학생은 “수학을 공부하면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처럼 소수의 규칙성을 찾기 위한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공식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찾지 못하고 일정한 형태를 가진 소수를 깊게
연구
한다.
연구
과정에서 n이 1보다 큰 자연수일 때 Mn = 2n - 1인 수에 소수가 유독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형태의 수를 훗날 ‘메르센 수’라고 부른다. 먼저 메르센은 2n - 1 이 모두 소수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