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활용해 주인공이 사건의 진실에 다가가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구성했다. 한국항공우주
연구
원장상을 수상한 유나무 작가의 ‘김민지 지구로 돌아오다’는 우주 로드무비다운 캐릭터들의 개성과 서사의 흡입력으로 시종일관 긴장감을 유지하는 작가의 역량이 돋보였다 ... ...
아직 다 밝히지 못한 정체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형태로 나타나야 한다는 ‘산술의 기본정리’에 어긋난다. 산술의 기본정리는 정수론
연구
에서 기본이 되는 약속이다. 또 다른 이유는 소수를 처음 정의할 때 역수가 있는 수는 제외하기로 한 것과 관련이 있다. 소인수분해를 자연수 범위에서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만약 소인수분해를 유리수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미국 국립표준기술
연구
소에서 만든 ‘스왁(SWAC)’이라는 초창기 컴퓨터를 이용해 뤼카-레머 판정법을 토대로 한 알고리듬을 짜서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스왁은 10억 자리의 수를 2개 더하는 데에 64탎(1탎는 10 ... ...
[Chapter3] 궁극의 문제, 소수 공식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당시 내시가 소수
연구
에 몰입했던 건 사실이다. 물론 리만 가설을 비롯한 소수
연구
를 내시만 한 건 아니다. 수많은 수학자가 소수의 비밀을 풀기 위해 도전해왔다. 그중에서도 소수의 규칙을 밝히기 위해 구슬 땀을 흘렸다. 그리고 그 도전은 현재 진행 중이다. 소수의 비밀에 한 걸음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페르마는 소수에 관한 추측도 제시했다. 음수가 아닌 정수 n에 대해 22^n + 1꼴의 수는 모두 1과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소수라는 게 그의 추측이다 ... N을 s로 표기한다. 복잡하지만 여기서는 딱 한 가지만 알아두자. 오일러의 소수
연구
가 수학계 최대 난제인 리만 가설로 이어진다는 점 말이다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게다가 당시 나이가 58세로 적지 않았고, 오랫동안 생활고에 시달렸음에도 수학
연구
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사연이 알려지며 단숨에 스타 수학자로 떠올랐다. 그를 계기로 너도나도 쌍둥이 소수 추측에 뛰어드는 일종의 신드롬까지 생겨났다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소수가 나타나는 간격이 비슷하다는 걸 알아냈다. 이 분야 전문가들은 초균일성
연구
가 소수 분포의 비밀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거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한다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거대 초식공룡을 사냥하는 최상위 포식자로 먹이의 종류가 바뀐다는 점이 드러났다.
연구
팀은 이 결과에 대해 육식공룡의 어린 개체와 성체가 생태계에서 다른 위치를 점하는 먹이를 사냥했기 때문에 서로 먹이 경쟁을 하지 않았고, 이것이 “티라노사우루스가 진화적으로 성공한 열쇠였을 수 ...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진동을 일으키는 알약, ‘바입스(VIBES墉ibrating Ingestible BioElectronic Stimulator)’를 만들었다.
연구
팀은 인간과 위 구조가 비슷한 돼지에게 바입스를 먹인 후 식사량을 측정했다. 108번 식사를 하는 동안 돼지의 음식 섭취량은 약 40%나 줄었다. 배고픔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그렐린의 수준은 감소했고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관절, 즉 모터의 각도를 파악해 현재 자세와 주변 장애물을 파악하는 모드다. 이 책임
연구
원은 비전 60이 계단을 걸어 올라가도록 시연하며 “사실상 눈을 감고 계단을 올라가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야외 활동에 특화된 고스트로보틱스 로봇의 활약무대 중 하나는 전장이 될 전망이다. 조 과장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