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유경인 최고기술책임자(CTO)와 함께 개발한 기술로, 해당
연구
는 컴퓨터 시스템 분야 세계 최고 학회로 여겨지는 ‘OSDI 2022’에서 발표됐다. 오르카는 연산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을 잡아낸다. 생성 AI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내놓기 위해 서버에서 GPU를 활용해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혹등고래가 자유롭게 지느러미를 사용하는 비결이 이 돌기라고 예상할 수 있죠. 이
연구
는 이론적인만큼 여러 가정이 들어갔다는 점(지느러미 길이 방향의 유체 흐름은 없다고 가정)에서 일정한 한계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기존의 이론적 방법론으로 혹등고래 지느러미의 특성을 근본적으로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탱크처럼 무한궤도가 달려 있어 무거운 장비를 차체에 싣고 나를 수도 있답니다.
연구
팀은 유튜브를 통해 로봇이 쓰러진 환자 역할을 하는 마네킹에 접근해 마네킹의 상태를 살핀 후 주사를 꺼내 꽂는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을 선보였어요. 데이비드 킹 박사는 “이 로봇은 환자가 쓰러진 장소에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꼽히는 테렌스 타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 교수도 소수 관련
연구
의 업적을 인정 받아 2006년에 필즈상을 탔다. 리만 가설을 비롯한 정수론의 난제도 소수에 관한 문제가 많다. 정시우 학생은 “수학을 공부하면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처럼 소수의 규칙성을 찾기 위한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공식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찾지 못하고 일정한 형태를 가진 소수를 깊게
연구
한다.
연구
과정에서 n이 1보다 큰 자연수일 때 Mn = 2n - 1인 수에 소수가 유독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형태의 수를 훗날 ‘메르센 수’라고 부른다. 먼저 메르센은 2n - 1 이 모두 소수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시작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소수가 되는 필요조건 페르마는 소수에 관해 여러
연구
를 했는데, 가장 잘 알려진 건 ‘페르마의 소정리’다. 그런데 이 역시 정확한 증명을 적지 않았다. 페르마의 소정리를 간단히 말하면 a가 자연수고, p가 소수일 때 ap-1은 p의 배수라는 것이다. 이 정리는 1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방법으로 증명을 시도해 봤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지금 이 문제가 현재
연구
하는 문제에 꼭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자세한 증명은 잠시 미루도록 한다’라고 적었다 ...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소수계의 슈퍼스타 쌍둥이 소수 무언가를 좋아해본 사람은 안다. 온종일 좋아하는 대상을 생각하다 보면 그것에 대해 아는 게 많아진다. 그 역사부터 최근에 ... 차가 가장 큰 값은 아래 식보다 크다고 밝혔다. 수학자는 오늘도 더 정확한 값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
에 매진하고 있다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그가 2021년 중국의 웹사이트 ‘지후’에 올린 글로 추측할 수 있다. “계속 수학
연구
를 할 거예요. 저는 제가 평생 수학을 할 것이라고 제 별에 쓰여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수학이 아니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언젠가 제가 정말 수학을 그만둔다면 그때 제 인생에서 무엇을 해야 ...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프로젝트’에 참여한 수학자로,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하는 과정을 수학을 이용해
연구
했다. 이날 울람은 잠을 쫓기 위해 격자 칸에 수를 적기 시작했다. 가운데 칸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을 그리며 수를 적었는데, 신기하게도 소수가 대각선에 몰려 있었다. 이렇게 나타난 소수들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