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공학적인 뒷받침이 완성됐을 때나 도달할 수 있는 목표였던 만큼, 이번 성과가 핵융합 연구자들에게 희망을 준다”고 인류 최초 순에너지 획득의 의의를 설명했다. “때로는 우리가 뭔가를 알고 있다 해도 그걸 사용할 수 있는 걸로 전환하는 데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아라티 프라바커 미국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파킨슨병, 루게릭병 등의 불치병은 아직 타깃이 알려지지 않았다. 실리코팜은 불치병 연구자들이 실리코팜이 개발한 솔루션을 사용해 이들 타깃을 찾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래를 바라본다 ...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합격했다. 미국에서 영어로 연구 제안서를 쓰기가 쉽진 않았지만 주변 교수님, 공동 연구자 분들, 연구실 동료들의 소중한 도움으로, 그 해 유일한 생물리화학자로서 이 장학금을 받았다. 교수님, 연구실 동료들과 참석한 학회장에서 장학금 합격 소식을 듣고 모두의 축하를 받던 짜릿함이 지금도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긴 과학자. 갈릴레이의 일화에는 얼마만큼의 진실이 들어 있을지 서양과학사 연구자 박민아 교수에게 들어보았다. 갈릴레이가 피사의 사탑에서 낙하 실험을 했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17세기, 갈릴레이를 반대했던 아리스토텔레스 추종자들은 무거운 물체가 가벼운 물체보다 먼저 떨어진다고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또 하나 조심할 점은 게임과 달리 현실 화석은 쉽게 바스라진다는 겁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묽은 접착제를 화석에 뿌려서 뼈를 단단하게 만든 후 돌을 떼어내기도 합니다. 부서진 화석을 붙이는 접착제를 쓰기도 하고요. 화석 복원이 이렇게 섬세한 작업이라 그런걸까요, 고생물학연구실의 화석이 ... ...
- [논문탐독] 지구 속 험준한 지진파 산맥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설명할 수 없습니다. 지진파 불연속면이 왜 가라앉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이번 논문의 연구자들은 온도에 따라 상전이가 일어나는 압력의 범위가 급격히 바뀌는, 아키모토이트((Mg,Fe)SiO3) 광물의 상전이(아키모토이트에서 브리지머나이트로의 상전이, 이하 ‘AB 상전이’)를 분석했습니다. 고온고압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의료영상기술 분야를 살펴봤습니다. 이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문을 내고 있는 연구자에게 직접 설명을 들었습니다. ‘광음향’. 용어는 생소하지만 우리는 광음향 현상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바로 번개와 천둥소리입니다. 폭우가 쏟아지는 날, ‘번쩍’ 하고 번개가 치고 이어서 ...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아는 씨 없는 수박이 우장춘의 발명이 아니라면?한국과학사 연구자 김태호 교수에게 우장춘의 진실에 관해 들어보자.오해1.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이 발명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해다. 1955년 7월 30일 영남일보에는 “우장춘 박사 환영회 겸 ‘씨 없는 수박’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아이돌 세계에만 ‘최애’가 있는 게 아닙니다. 은하 연구자에겐 은하 각각이 사랑스럽고 자랑하고픈 존재거든요. 6개월간 여러분의 최애 은하를 찾아보세요. 독일의 뉘른베르크와 라이프치히 사이에 있는 작은 시골 마을에는 ‘해파리 빌라(Villa Medusa)’라고 불리는 건물이 있다. ‘독일의 찰스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0.5%, 금속은 고작 1%다. 어떻게 하면 이들의 탄성변형 한계를 높일 수 있을까. 금속 연구자들은 ‘탄성 한계를 넘어선 변형이 무엇인가’라는 정의에 주목했다. 전위가 발생해서 이동한 원자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는 변형이 탄성 한계를 넘어선 변형이라면, 힘을 받아도 전위가 생성되지 않는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