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최초 발견! 참매미 약충은 5형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김신혜, 곽수진, 이원재, 유상홍, 엄재윤 대원이 모였어요. 이들은 인천, 서울 등지에서 연구자들과 함께 땅을 팠습니다. 40~50cm 깊이로 나무 뿌리나 토양 곤충들이 다치지 않도록 조심스레 파낸 땅속에는 다양한 크기의 매미 약충들이 있었습니다. 이원재 대원(오른쪽 사진)은 “더운 날씨에 계속 땅을 ... ...
- [수학뉴스] 한국계 수학자 최초 필즈상 수상 '허준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생각하는 것보다 더 멀리, 깊이 갈 수 있어요. 이 과정이 수학의 가장 큰 매력이에요. 전 연구자 한 명한 명이 생각의 그릇이라고 생각해요. 각 그릇에는 물이 들어있는데, 그릇끼리 물을 주거니 받거니 하는 과정에서 물이 점점 더 차올라요. 어느 순간에 이르면, 난해한 문제까지 이해할 수 있는 ... ...
- [지구사랑탐사대] 도랑에 빠진 개구리를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아이디어 제시, 실험까지 이끌었다”며 “시민연구원의 풍부한 현장 지식과 경험에 연구자의 과학적 분석 방법 등이 더해져 각자의 강점이 잘 어우러졌던 연구였다”고 말했습니다. Q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개구리가 수로에 갇히지 않고 빠져나올 수 있도록 이 연구를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옆에는 누가 사진의 주인인지 그 출처를 적습니다. 과학 연구 사진은 논문에 실리거나 연구자가 보내준 사진을 쓰곤 하지만, 기사를 예쁘게 꾸미는 사진을 찾을 땐 여러 다양한 이미지를 모아놓은 ‘스톡 포토’ 사이트를 이용한답니다. GIB는 ‘게티이미지뱅크’의 줄임말로 대표적인 스톡 포토 ... ...
- 진실 혹은 거짓, 멘델은 완두콩으로 무슨 일을 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정의하며 유전학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도록 만들었다는 의미다. 육종학자 멘델, 많은 연구자와 활발히 교류한 멘델, 의도치않게 현대 유전학의 실험 방법을 만든 멘델…. 아르헨티나의 작가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영광이란 일종의 몰이해에 불과하며, 아마 최악의 몰이해일는지도 ...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공개하지 않는다면 인터넷이 더욱 넓어질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연구자인 빈튼 서프가 만든 인터넷 기기들의 소통 언어인 TCP/IP 프로토콜은 컴퓨터 가 어떤 곳에 있든 모두가 평등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체계다. 현재의 인터넷에 평등이라는 가치와 민주주의적 의사 결정이 ...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를 가리킨다. 광자 그래프의 125GeV 대에서 튀어나온 신호가 힉스의 흔적이었던 셈이다. 연구자들은 포착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힉스의 성질을 파악해 나갔다. 힉스 입자의 질량은 0.1% 오차 범위에서 125GeV로 측정됐다. 다른 기본 입자들과 얼마나 상호작용하는지도 실험했다. 힉스 입자가 정말 물질에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밝혔다. 이를 통해 앞으로 탐사에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선하고 더 많은 연구자를 지원하는 등 공공성과 개방성을 더욱 확장하는 방향으로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 ...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발굴현장에서 발견된 연꽃 씨앗은 분석 결과 약 700년 전 고려 시대의 것으로 밝혀졌어요. 연구자들은 이 씨앗이 살아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늪지에 싹을 틔우는 데 성공했습니다. 피어난 분홍빛 연꽃에는 ‘아라홍련’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소수성 : 물과 쉽게 결합하지 않는 성질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수상자의 연구 분야 전체가 인정받는 분위기라 수상자의 동료 연구자, 같은 분야 연구자가 모두 수상을 기뻐하고 자랑스러워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GSA의 주요 연사인 젤마노프 교수님의 필즈상 수상은 GSA의 쾌거로 여겨지는 부분이 있었던 겁니다. 젤마노프 교수님은 군론의 중요한 문제 중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