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력"(으)로 총 1,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사용하면서 수명은 1만 시간으로 약 10배 늘어났지요. 그리고 LED 조명은 1초 동안 약 6.5W의 전력을 사용하고, 수명은 1만 5000~2만 5000시간으로 더 길답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거리의 가로등을 모두 LED로 바꾸려고 해요.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도로 조명을 LED로 모두 바꿀 계획이지요.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파이프라인을 발사체에 탑재된 부품들과 연결해주는 조립장치, 발사체 1단과 2단의 전력과 유공압 배관을 연결해주는 조립장치 등이 나로호 맞춤형으로 설계됐다. 제작은 블라디미르주 코브로프시에 있는 흐루니체프사의 지사 아르마투라 설계국이 맡았다. 조립된 1단에는 외부 단열을 위해 열 ...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스마트홈 등 더욱 완벽한 사물인터넷(IoT)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초지능, 초저전력 기술에 기반한 지능형 반도체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연산이나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로 ...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18일 오후 8시 38분(한국시간) 우주유영을 시작해 7시간 17분 동안 ISS 바깥에 있는 고장난 전력 장치를 교체했다. BCDU(Battery Charge-Discharge Unit)로 불리는 이 장치는 태양전지판으로 얻은 전기를 전지에 모았다가 ISS의 모듈로 보낸다. 인류가 처음으로 우주유영에 성공한 건 1965년이다. 이번에 코크와 . ...
- Q. 오염수를 왜 바다에 버리려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고조되고 있습니다.일본은 저장탱크를 지을 땅이 더이상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도쿄전력은 최대 137만t까지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를 더 지을 계획이지만, 3년 뒤인 2022년 여름쯤에는 이 또한 한계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참고로 탱크 하나가 가득 차는 데는 일주일 가량 걸립니다 ... ...
- Q. 원전은 멈췄는데 오염수는 왜 자꾸 늘어나는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70t은 원전 건물 주변의 지하수나 원전 해체작업 중에 생긴 액체 폐기물 등입니다. 도쿄전력은 오염된 지하수를 약 40개의 우물로 퍼 올려 원전부지 내 설치된 960개 가량의 저장탱크에 차곡차곡 저장해왔습니다. 최근 방류 논란에 휩싸인 오염수는 바로 이 저장탱크에 들어있는 오염수를 말합니다 ... ...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2트랙으로 컴퓨터공학을 선택했다.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는 반도체를 비롯해 무선전력전송,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다. 그중에서도 필자는 반도체 연구를 선택했는데, 이는 박사과정 지도교수님이기도 한 최재혁 교수님의 영향이 지대했다.막 학부 2학년이 됐을 때 최 교수님이 ...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동남아시아와 남부아시아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 실내 환기에 쓸 수 있는 무전력 공조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101 프로젝트 팀은 동충하초의 일종인 백강균이 닭진드기에 기생하면 닭진드기를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했다. 다공성 물질인 화산송이에 백강균을 착생시켜 어두운 틈을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30도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컸다. 또한 섬이지만 육지로 간주해도 무방할 만큼 교통, 통신,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기에 용이한 지역이었다. 대정읍에 우주센터 기지를 두고, 남쪽으로 10.5km 떨어진 마라도에 발사대를 설치하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하지만 지역 주민의 반대가 ...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속 청각신경으로 전달돼 마침내 소리를 들을 수 있지요. 최근 과학자들은 크기와 전력 소모를 줄여 몸속에 이식할 수 있는 인공와우를 개발 중이랍니다. 무선 이어폰을 둘러싼 건강 논란지난 3월, 한 뉴스 기사가 SNS를 통해 전세계로 빠르게 확산됐어요. 최근 ‘이엠에프사이언티스트(EMFscientiest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