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력"(으)로 총 1,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공모한 이유예요.NASA는 성별에 관계없이 쓸 수 있는 무게 약 15kg 이하, 크기 약 0.39m2, 소비전력 70W 이하의 화장실을 조건으로 제시했어요. 1~3등으로 선정된 세 팀에게는 약 4000만원에 달하는 상금이 수여되었지요. ●1등 “변기 왕좌의 진정한 승리자는 나! THRONE”-수상자 : 분 데이비슨의 팀, 미국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 정밀하게 뇌 표면에 전극을 삽입하는 기술, 생체신호를 저전력으로 측정하는 ‘링크’의 핵심기술은 이미 다 만들어져 있었어요. 뉴럴링크는 이 기술을 적절히 융합해 완성품을 만들어냈지요. 생중계를 보면서 애플의 전 CEO인 스티브 잡스가 2007년에 아이폰을 처음 선보일 ... ...
- [특집] 찬란한 태양빛에서 전기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작동시키기엔 충분하지 않아요. 이에 연구팀은 게임기의 소리를 없애는 등 최대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함께 연구했답니다. 조시아 교수는 “배터리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배터리가 없는 전자기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얘기했어요. _ 인터뷰조시아 헤스터(미국 ... ...
- [특집] 문질문질 꾹꾹, 움직임 속 전기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켜는 영상(왼쪽 사진)을 공개했어요. 크루펜킨 교수는 “이론적으로는 1m2당 10W의 전력을 만들 수 있다”며, “이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양”이라고 얘기했답니다. _ 인터뷰이상민(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마찰전기로 상처를 치료할 거예요” Q 최근 ... ...
- [특집] 야생의 전기를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전기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거예요. 연구팀이 제작한 발전기는 1m2당 약 25mW(밀리와트)의 전력을 만들었어요. 이 전기 에너지로 LED 전구를 켜기도 했답니다. 펄펄 눈이 옵니다♬ 눈으로 전기 에너지를!에너지 하베스팅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눈은 반가운 존재가 아니에요. 태양전지의 경우,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계절마다 '낮'길이가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로봇 친구를 직접 한번 만들어 보세요.태양광 아쿠아 로봇은 태양 전지와 건전지 두 전력으로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로봇이에요. 꼬리지느러미 위에 달린 태양 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전기를 만들어요. 전지 안 금속에 햇빛이 닿으면 햇빛 속 광자가 금속의 전자를 튕겨내는 광전 효과를 일으키기 ... ...
- [한페이지 뉴스] 물고기, ‘칼군무’로 에너지 비축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소비량을 각각 측정해 비교했다. 로봇물고기의 에너지 소비량은 움직일 때 소비되는 전력량을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쌍으로 헤엄칠 때 뒤따르는 물고기의 에너지 소비량이 두 물고기 사이의 거리와 위상에 따라 최대 13.4%까지 차이가 났다. 뒤따라 헤엄치는 로봇물고기가 앞서가는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켜지는 LED 손전등을 개발했다. 신발에 적용된 압전소자는 이론적으로 1m2 당 최대 10W의 전력을 만들 수 있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충전하기에 충분한 양이다.2016년 미국 조지아공대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활용하는 팔찌를 개발했다(사진). 이 팔찌는 섬유 기반의 마찰 나노 발전기와 경량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케이블로 연결된 움직이는 로버예요. 휴대용 생명 유지 장치의 핵심인 공기 정화 장치, 전력, 열 조절 장치 등을 싣고 있어요. 무거운 등짐을 자동 카트에 실었다고 상상하면 되겠네요. 올해 NIAC 2단계에 선정된 ‘바이오봇’은 개발을 거쳐 미국의 나사 존슨 센터에서 작동 시연 실험을 거칠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위성이지만, 일단은 250km에서 시작해 타원궤도를 돌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내 위성에 전력을 공급할 태양전지판이 펼쳐지며 태양을 바라보도록 설정됐다. 위성의 위치 역시 태양을 기준으로 알아냈다. 이를 태양지향모드라 한다.30분 뒤 전이궤도에 진입했다. 전이궤도는 지구에서 가깝게는(근지점)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