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방"(으)로 총 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어려운 문제 중에서 수학과 관련이 없는 문제를 ‘퍼즐’이라고 한다. 수학적인 고려를 하지 않고 문제를 만들었다는 소리다. 이런 퍼즐이 어떻게 수학과 관련되는 걸까?어떤 문제든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수학자라면 답을 알고 있지 않을까? 수학자는 어떤 관점에서 퍼즐을 푸는지 2006년 필즈상 수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국의 발명가 로버트 고다드는 ‘지구에서 달까지’라는 쥘 베른의 과학소설을 읽고 세계 최초로 현대식 로켓을 만들었다. 6만 번이 넘는 시행착오 끝에 1926년 3월, 52m 정도 떨어진 곳까지 로켓을 날리는 데 성공했다. 비행시간은 2.5초였다. 고다드 이후 16년 만에 200km를 날아가는 로켓이 개발됐고,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타성의 진화 연구에는 또 다른 천재 한 명의 등장이 예고돼 있다.바로 조지 프라이스. 일찍부터 여러 분야에 천재성을 드러냈던 그는 왜 돌연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을까. 그리고 그 비극의 한가운데에서 홀로 무엇을 발견했을까.1975년 1월 6일, 런던은 춥고 음산했다. 한 공동묘지에서 조용히 장례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어제 왕자님이 잠든 뒤 복제 실험을 시작했습니다.”방문을 열고 들어온 복제 전문가의 말에 로봇 왕자는 졸음이 확 달아났습니다.“이제 성 바깥으로 나갈 수 있는 거군요! 야호!”흥분한 왕자와 달리 복제 전문가는 침착하게 말을 이었습니다.“어젯밤, 왕자님이 잠든 뒤 저는 주사위를 던졌습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내가 용의 자손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은 초등학교 6학년 때였던 것 같다. 처음이라고 확실히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 전에도 내가 용의 자손이라는 사실을 들은 적은 있었기 때문이다.두 살 때인가, 세 살 때인가, 어머니와 아버지가 부부싸움을 약 40분 연속으로 하시고 어머니께서 열 받아서 확 ... ...
- [수학뉴스] 무한히 많은 방의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무한히 많은 손님에게 방을 내어주는 무한호텔이 어디에 있냐고요? 수학의 세계에서는 가능합니다. ‘무한히 크다’는 표현을 이해하면 여러분도 무한호텔에 찾아갈 수 있어요.무한히 크다는 뜻인 ‘무한대’는 어떤 수보다도 큰 상태입니다. 수를 끝없이 나열한 수열을 생각해 봅시다. 만약 아무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두 공주는 마녀가 설계한 새로운 실험에 참여하기로 했다. 왕자는 이번에도 일요일 밤에 동전을 던져 결과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공주를 깨운다.먼저 큰 공주와 작은 공주가 일요일 밤에 각기 다른 방에서 잠든다. 이들은 실험이 끝날 때까지 서로 대화할 수 없으며, 상대방이 어떤 상태인지 전혀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1사람들은 떨리는 마음으로 전원을 켰다. 긴장할 시간도 없이, 금방 유미의 모습이 나타났다. 두 시간 전에 떠나버린 유미와 완전히 똑같은 얼굴, 똑같은 목소리였다. 다들 환호성을 질렀다.“유미야!”“어떡해, 진짜 옆에 있는 것 같아!”유미는 밝게 웃으며 사람들과 대화를 나눴다. 홀로그램으로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가녀린 몸에 큰 눈망울, 굳게 다문 입술, 풍성한 머리칼과 화려한 꽃 장식, 어깨 위의 나비….‘미인도’는 천경자 화백의 작품답게 화려하면서도 수수한 멋이 있다. 하지만 25년간 진위 논란에 시달렸다. 천 화백이이 작품을 두고 “내 자식이 아니다”라고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자세히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부풀려서 채우면 끝오랜 비행으로 당신도 절절하게 체감했겠지만, 지구와 화성은 아주 멉니다. 가장 멀 때는 약 4억 100만km, 가장 가까울 때도 약 5460만km나 되죠. 오래 걸리는 만큼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지구에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1kg의 물건을 보내는 데에도 100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듭니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