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뉴스
"
순간
"(으)로 총 2,90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올해 최고의 천체사진은 태양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함께 담았다. 천문연 제공 이영범 씨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만남'. 달과 별이 만나는
순간
을 함께 촬영하고 싶어 달과 염소자리의 33번째 항성 염소 33을 담았다. 염소 33은 지구와는 약 239광년 떨어져 있어 239년 전의 빛과 약 1초 전 달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의 하늘에서 만난 모습을 표현했다. 천문연 ... ...
비틀고 구겨도 멀쩡한 '스트레처블' 에너지 저장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가 새로운 형태의 전자 기기 속 에너지 공급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MSC는 저장한 전기를
순간
고출력으로 내보낼 수 있는 장치로 작은 부피에서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저장·방출할 수 있다. MSC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인 집전체는 고체 금속인 금(Au)으로 만들어져 변형이 매우 제한된다. 전도성이 ... ...
점프도 하고 비행도 하는 '하이브리드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점프 높이에서는 평균 초속 2.38m의 수직 점프 속도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홉콥터는
순간
적인 가속과 빠른 방향 전환이 가능해 복잡한 환경에서 민첩성과 활용성이 크다"며 "연속 비행으로 옮기기에는 너무 무거운 물체를 운반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화 난 감정 종이에 적고 폐기하면 분노 줄어들어"
2024.04.14
많은 상황에 처한 직장인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며 "회사 생활을 하면서 화가 나는
순간
에 메모하듯이 스트레스의 원인을 적으면 분노를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 ...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깨지면 우울감 등을 유발한다. 김 교수는 "우리 몸은 수많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매
순간
협업하며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며 "과한 당 섭취는 이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어 자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혈당은 피부 노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당이 지방, 단백질과 ... ...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학습시켜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예측 모델은 새로운 뇌의 활동 패턴을 대입했을 때 매
순간
느끼는 자기 관련도와 긍·부정 정서를 성공적으로 예측했다. 자유롭게 생각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동안 수집된 199명의 뇌 패턴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두 지표를 읽었다. 제1 저자인 김홍지 IBS 뇌과학 ... ...
'다이아 반지'
순간
포착…천문연·NASA 개기일식 관측 자료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김명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에 파견한 관측단이 개기일식
순간
을 촬영하고 태양 코로나 지상관측 자료를 확보했다. 한국천문연구원(KASI)은 미국 텍사스주에 관측단 두 팀을 파견해 개기일식을 관측하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공동으로 개발한 국제우주정거장용 ... ...
'-2/3' '-3/5' 전하...그래핀 속 전자의 기묘한 행동, 양자컴퓨터에 활용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극저온 상태에서 자기장의 세기를 매우 크게 한 뒤 홀 효과로 인한 저항을 측정하면 어느
순간
부터 불연속적인 계단 형태로 증가한다. 극저온과 고자기장 환경에서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정해진 에너지 수준 사이가 멀어지기 때문에 전자들이 에너지 수준 사이를 '점프'하는 양자 상태가 되기 ... ...
대만 강진 이어 일본서도 지진..."두 지진 관련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면서 "미미해보이지만 10, 20년이 지나면 움직이면서 발생한 차이가 서서히 커져 어느
순간
크게 어긋나며 지진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대만 동부 화롄 지역에 큰 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던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고 했다. 이번 지진은 지난 1999년 2000명 넘게 숨진 9·21 대지진 ... ...
"게임 금수저 있다?…시간당 인지하는 시각정보량 사람마다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측정했다. 광원이 1초에 깜빡거리는 횟수를 점점 늘리다 보면 실험 참가자는 어느
순간
부터 빛이 깜빡이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실험 결과 어떤 참가자는 초당 35번 깜빡이는 빛을 지속해서 켜져있다고 인식한 반면 다른 참가자는 초당 60회 이상의 속도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