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스페셜
"
망원경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뒤 소행성 1.75km 상공을 돌며 표면을 촬영하고 지도를 만들며 조사하고 있다. 베누는
망원경
관측에서는 표면이 모래로 들어찬 것으로 추정됐으나 오시리스-렉스가 가서 보니 정작 바위가 표면에 가득한 행성으로 판명된 것이다. 이후 연구팀은 안전하게 표본을 채집할 장소를 찾고 탐사선이 표면에 ... ...
태양은 외롭게 태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쪼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카리나 성운의 별 탄생 영역인 NGC 3324을 촬영한 허블우주
망원경
영상이다. 태어난 무거운 별들이 강한 자외선 빛을 비추면서 분자구름을 깎아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분자구름의 산소동위원소 분포를 변화시킨다. 흰 가로선 축척은 5광년 또는 태양-지구 거리의 30만 ...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누리온’을 활용한 연구결과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과 지난해 사건지평선
망원경
(ETH) 연구를 통한 인류 첫 블랙홀 관측으로 관심을 끈 초거대 블랙홀의 성장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이론적 자료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KISTI와 고등과학원,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 진화와 은하 생성을 ... ...
지구에 붙잡힌 '작은 달' 알고보니 54년전 임무 실패한 로켓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로켓일 수 있다고 이달 12일 보도했다. 이번에 발견된 물체는 지난달 17일 하와이에서
망원경
을 통해 처음 관측됐다. 이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2020 SO’라는 이름을 받았다. 물체의 길이는 약 8m 정도로 관측됐다. 지구 주변을 지나가는 소행성은 종종 지구 중력에 잡혀 달처럼 지구 궤도를 돌기도 ... ...
블랙홀 빨려든 별, 국수처럼 늘어났다가 초속 1만km로 흩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어떻게 움직이는지 더 잘 이해할 수 게 됐다라며 “칠레에 건설 중인 구경 39m의 초대형
망원경
(ELT)을 이용해 더 희미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조석교란 현상을 관측하고 블랙홀 물리학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10.08
중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수십 배가량 강한 중력렌즈 현상을 발견했다.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촬영한 초거대 은하단 사진에는 은하단이 일반적으로 만들어내는 중력렌즈 현상뿐만 아니라, 은하단 중심부에서 만들어낸 소규모의 중력렌즈 현상이 다수 포착됐다. 이렇게 만들어진 은하단 전체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받아들여지게 됐고 천체 현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됐다. 또 2019년 초에는 사건지평선
망원경
(EHT)을 통해 직접적인 영상도 볼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특이점에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를 언급한다. 물리학에서 무한대의 양이 나타난다는 것은 그 현상을 지배하는 이론이 더는 타당하지 않게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세계 최대 구경 10미터의 ‘켁(Keck)
망원경
’을 사용하고 있었다. 당시 겐첼 교수는 NTT
망원경
의 구경이 더 작지만 자신이 직접 제작한 고해상도 적외선 카메라의 성능이 더 뛰어나다고 자부심이 대단했다. 겐첼 교수와 게즈 교수의 연구로 우리은하에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중심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으리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는 사건지평선
망원경
(EHT) 연구팀의 노력을 통해 지구로부터 5500만 광년 떨어진 M87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EHT 연구팀의 다음 관측 대상으로 궁수자리A가 떠오르고 있다 ... ...
아직 한번도 안받았나? 블랙홀, 노벨상 수상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망원경
으로 블랙홀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블랙홀의 가장자리를 촬영하는 ‘사건지평선
망원경
(EHT)’ 프로젝트의 성공이라는 성과를 낳았다. 이런 이유로 블랙홀 그림자 관측 성과는 지난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의 유력한 후보로도 거론됐지만, 결국 수상은 불발됐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