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스페셜
"
망원경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주변서 우리 은하서 태어나지 않은 '의붓별' 무리 찾아내
연합뉴스
l
2020.07.08
결과인 '헬미 흐름'(Helmi stream)도 찾아냈다. 연구팀은 닉스를 새로 찾아냄에 따라 지상
망원경
을 이용해 추가 관측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별 흐름의 화학적 구성 성분과 기타 세부내용을 분석하면 왜소은하가 우리 은하에 언제 합병이 됐는지를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어디서 왔는지도 단서를 ... ...
소형 발사체 작은 거인 로켓랩 쓴잔 마셨지만 다시 '도전'
2020.07.07
캐논의 디지털일안반사식(DSLR) 카메라 EOS 5D마크3의 광학계와 3720mm 초점 거리의 지름 40cm
망원경
을 장착했다. 지상 600km 상공에서 가로세로 1m인 물체를 점으로 인식하는 해상도를 가진다. 무게는 35.5kg다. 캐논은 2017년 위성영상사업 계획을 발표하면서 2017년에 시험용 위성을 발사한 데 이어 이번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지를 치며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빛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처음이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으로 만든 빛을 얇은 비누막에 통과시킨 후 이를 실험
망원경
을 이용해 관찰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빛이 가지를 치며 뻗어나가는 모습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얇은 비누막을 가지고도 빛이 길쭉한 가지를 형성해 이후에 가지를 치는 듯한 현상을 ... ...
독자 기술로 제작한 대형 천체
망원경
, 광주과학관에서 일반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가능한 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에스엘랩은 “이번
망원경
제작을 통해 직경 2m급
망원경
을 국산화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며 “다양한 궤도의 비행물체, 우주 물체를 추적할 수 있는 표준 기술 관련 특허도 취득했다”고 밝혔다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관측을 하면 충돌이 일어난 위치도 추정이 가능하며, 이 경우 광학
망원경
이나 전파
망원경
을 통한 동시 관측을 통해 우주나 별의 진화를 밝힐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천체 신호를 통한 관측이라는 뜻에서 '다중신호 천문학'이라고 부른다. 라이고와 버고 연구팀은 지난해 8월 14일 ... ...
[동영상]"놓치면 10년 뒤" 21일 오후 3시50분 부분일식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부분일식 등 ● 주의사항 : 실제로 관측시 눈 손상을 막기 위해 태양 필터가 장착된
망원경
이나 특수안경을 사용해 관측해야 하며, 연속해서 3분 이상 관측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 (관련 기사 보기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만 있어도 쉽게 찍는다) 이달 21일 오후, 전국에서 관측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보이는데 그렇지 않은 방출선이 발견된 것이다. 이 방출선의 공간 분포를 허블 우주
망원경
이미지와 비교해보니 충격파로 둘러싸인 안쪽 지역에서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s A 1.644 ㎛ 선 영상이다. 붉은 별표시는 폭발 중심 위치를 나타내고, 바깥쪽의 노란색 선은 전파에서 보이는 초신성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만 있어도 쉽게 찍는다
과학동아
l
2020.06.18
5시 2분 절정을 이룰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식과 월식을 제대로 촬영하고 싶다면 천체
망원경
과 디지털카메라 전문 장비 사용을 강추합니다. 하지만 이런 장비들을 모두 갖추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럴 땐 과학동아천문대의 ‘해가 숨는다!’ 등 천문대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
21일 오후 전국에서 부분일식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전국 어디에서나 관측이 가능하다”라며 “눈 손상을 막기 위해 태양 필터가 장착된
망원경
이나 특수안경을 사용해 관측해야 하며, 연속해서 3분 이상 관측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2006년 3월 29일 촬영한 부분일식의 모습니다. 이번 부분일식도 이와 비슷한 초승달 모양으로 ... ...
우주 미스터리 풀어줄 157일 주기 '빠른 전파 폭발'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9
점을 의미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지난 2012년 11월 2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
으로 처음 포착된 FRB 121102는 같은 곳에서 반복되는 몇 안 되는 FRB로 이미 주목받아 왔다. FRB는 지난 2007년에 처음 포착됐는데 이후 10년 가까이 별의 폭발 등과 같은 일회성 사건과 연관된 것으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