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망원경"(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속전파폭발 관측 새 장 연 과학자 올해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2019.12.21
-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9일 숫자 10을 가득 채우고 있는 수많은 은하의 모습과 함께 이를 관측하고 있는 거대 전파망원경의 모습을 ... 새롭게 제작하고 있다. 아웃트리거 망원경은 FRB만을 찾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차임 망원경으로부터 1000㎞ 떨어진 곳에 건설될 예정이다 ... ...
- 외계행성 정밀 탐사 우주망원경 '키옵스' 내일 발사(종합)연합뉴스 l2019.12.17
-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받기도 한 쿠엘로 교수는 "작은 망원경으로 존재를 밝혀내고 더 큰 망원경으로 세부내용을 관측하는 것이 천문학의 전형이며, 우리가 하려는 것도 바로 이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우리은하 중심부도 폭발적 별 생성…'역사' 다시 써야연합뉴스 l2019.12.17
- 발표했다. 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파라날 천문대의 8m 구경 초거대망원경(VLT)에 장착된 고감도 광역 적외선 카메라인 '호크아이'(HAWK-I)를 이용해 은하 중심부의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했다. 이 이미지의 각도분해능은 0.2각초(1각초=3천600분의 1도)로 8㎞밖에서 1센트 동전 두 개를 ... ...
- 한국이 발견한 외계행성계 이름은 '백두''한라'동아사이언스 l2019.12.17
- 한라는 2015년 이병철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이 천문연 보현산천문대의 1.8m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한 외계행성이다. 지구보다 477배 무거우며 태양계 최대 행성인 목성보다도 1.5배 무거운 거대한 가스행성이다. 이름의 제안자인 채중석 서울혜화경찰서 경위는 “별 이름 백두와 외계행성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2019.12.12
-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가 묻혀 있다. 갈릴레오 묘지 위에 세워진 조각상의 오른손에는 망원경이 들려 있다. 이장할 때 갈릴레오의 척추, 치아, 오른손 엄지, 검지, 중지를 떼어 내 따로 보관했다. 피렌체의 명소인 우피치 미술관 바로 옆에 있는 갈릴레오 박물관에 가면 갈릴레오의 손가락뼈를 볼 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2019.11.29
- 관측하면 갈릴레이가 관측한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납득시킬 수 있었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한 결과는 한 마디로 코페르니쿠스가 옳다는 것이었다. 예컨대 갈릴레이는 금성의 상이 초승달, 반달, 보름달 등과 같은 모습으로 변하는 것을 관측했다. 이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 ...
- "AI에게 우주환경 학습시켰더니 천체 관측시간 확줄고 희미했던 별 뚜렷" 동아사이언스 l2019.11.15
- 그 정도가 약해 좋은 영상을 얻으려면 오래 노출시켜야 한다”며 “우리가 허블 우주망원경과 같은 장비에서 찍은 좋은 영상은 다 수십일 이상 노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AI를 학습시키면 한 장의 영상을 통해서도 오래 간 노출한 것과 같은 영상을 얻는다. 문 교수는 “외부은하 탐사하는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2019.11.14
- 나이가 13세, 12세 되던 때였다. 맏딸인 비르지니아의 수도명은 마리아 첼레스테였다. 망원경으로 하늘 보기를 좋아했던 아버지에 대한 마음이 수도명에도 잘 드러나 있다. 마리아는 일생을 두고 갈릴레오와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현재 120여 통이 남아 있다. 갈릴레오보다 14살 연하였던 마리나 감바는 ... ...
- 스페이스X, 로켓 재활용 새 이정표…위성 무더기 발사에 천문학계 갈등 커져2019.11.12
- 별로 문제될 게 없는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칠레에 구축중인 대형시놉틱관측망원경(LSST). LSST 제공 현재 구축중인 LSST는 얘기가 다르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소행성 및 기타 천문현상을 연구하는 LSST는 워낙 시야각이 넓기 때문에 하늘을 가로지르는 인공위성이 실질적으로 영향을 줄 수 ... ...
- 잘 나가던 국제공동연구센터는 어떻게 1년만에 '유령'이 되었나동아사이언스 l2019.11.06
- LBNL이 공개하고 있는 장비 이용 계획표에 따르면, 올해 DGIST-LBNL GRDC가 확보하고 있는 X선 망원경 사용 시간은 없다. 지난해까지 DGIST를 비롯해 국내 연구팀이 센터에서 확보한 사용 시간을 이용해 수십일 이상 자유롭게 장비를 이용했던 사용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현재 센터는 LBNL과는 공식적인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