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달리던 두 기차가 만난다.”“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수학을 조금 아는 사람이라면 위의 두 명제가 항상 거짓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것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틀렸다. 두 평행선이 만나고, 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이 180°이 아닌 상식을 뒤엎는 기하학이 있다. ‘비유클리드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하지만 단점이 바로 볼펜 똥이 생긴다는 거야. 볼펜 똥은 끈적끈적한 잉크가 볼 주변에 조금씩 쌓이다가 한꺼번에 종이에 묻어서 생기지.볼펜 똥이 생기지 않게 하려면 볼 주변에 잉크가 쌓이지 않게 하면 돼. 수성 볼펜은 잉크의 점도를 낮춰 볼펜 똥이 생기지 않아. 하지만 잉크가 쉽게 번지거나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마을 사람들이 이장님을 굉장히 따르고 신뢰했었는데, 정말 사람 일은 모르는 거군요. 조금은 독특한 분이라고 생각했지만,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가….”문 반장의 말이 길어지자, 다급한 왕 반장이 두물머리의 상황을 물었다.“저기 문 반장, 변 이장의 양계장 말이야. 양계장 땅이 엄청나게 ... ...
- 똑 소리 나는 교관 ‘대충하지 마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원칙을 지키기로 유명한 ‘대충하지 마림다’ 교관이 훈련을 시작했다.“으…, 왠지 조금 떨리는데….”미션1 군인의 기본자세, 제식훈련“지금부터 군인이 가져야 할 기본자세인 제식훈련을 하도록 하겠다!”군인은 단체로 행동한다. 구령에 맞춰서 절도 있게 걷는 훈련부터 다시 배운다.“앞으로 ... ...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잠자리 같은 눈치 빠른 곤충은 조금만 주위에서 움직여도 바로 도망가죠. 또 각 홑눈이 조금씩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어서 머리를 돌리지 않고도 넓은 지역을 볼 수 있어요.자외선까지 볼 수 있는 벌과 나비의 겹눈!벌과 나비가 꿀이 있는 꽃을 어떻게 찾을까요? 사람처럼 화려한 꽃의 색을 알아보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가령 ‘지금 밖에 비가 오고 있다’ 같은 경우는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논리를 조금이라도 길게 전개하는 상황이면 과정의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을 수 없다. 서양사상사에서는 이런 문제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처음으로 체계화됐다.그는 ‘명제’라는 개념과 ‘삼단논법’ 같은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안정된 곳이다. 창고처럼 소행성을 보관해 뒀다가 나중에 필요할 때 꺼내 쓰면 된다. 조금 있다 자세하게 말하자.수백t에 이르는 소행성을 옮기기 위해서 NASA는 역대급 추진장치를 준비하고 있다. 소행성포획용 우주선에는 지름 10.7m의 고출력 대형 태양전지판 두 개를 달 계획이다. 이온 추진 로켓도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변할지 알 수 없다. 다만 11년 주기로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진다는 것을 아는 독자라면 조금 더 오로라 여행의 성공률을 높일 수도 있다.하지만 오로라가 나타날 가능성을 따지기 전에 생각해야 할 중요한 변수는 ‘날씨’다. 하늘에서 오로라가 펼쳐지는 실제 위치는 대기권 중 가장 위쪽인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NWA2364)을 분석한 결과란다. 45억 년이 넘는 나이에 무슨 차이가 있냐고? 껄껄껄,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나이가 정확해지면 태양계가 탄생한 순간도 더 정확하게 알 수 있지 않겠어? 그나저나 인간들은 ‘탄생의 비밀’이 그렇게 재미있나 봐? 드라마에도 빠지지 않는 걸 보면.이름의 앞 글자만 딴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시작된 수학 이론은 오늘날 자연의 신비한 현상 중 하나인 인체와 질병의 수수께끼를 조금씩 풀어내고 있다. 미래에는 병으로 죽는 사람이 없도록 수학이 우리의 생명을 지켜줄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