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답정너’ 위로하는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부정하는 격려보다 ‘그래 네 상황이 참 힘들겠다’는 간단한 공감이 더 큰 힘이 되었다.
학자
들은 위로가 효과를 발휘하려면 그 내용이 얼마나 긍정적인가 여부보다 위로하는 사람이 상대가 처한 상황을 평소 가지고 있던 자기 지각에 비추어 ‘공감’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칭찬의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쓰고 있었다. 24년 동안 남들이 가지 않은 외길을 간 뚝심이 망치에서 묻어났다.고생물
학자
에게 뚝심과 끈기는 기본 덕목일 것이다. 9000만 년을 한결같이 유지해 온 화석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게 임무니까. 오지의 화석 연구자들은, 어느덧 화석의 덕성을 닮아가고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일반상대론의 아인슈타인 방정식이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 초 정도까지 물리
학자
들이 어려운 방정식의 복잡한 해를 찾는 데 집착하면서 일반상대론 연구는 거의 정체 상태에 이르렀었다. 하지만 시공간 구조의 거시적인 성질을 방정식을 풀지 않고 연구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바꾸면서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
학자
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연구를 응용할 생각을 어떻게 하셨나요?다양한 응용의 핵심은 ‘대화’예요. 저는 수
학자
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을 정말 좋아해요. 비록 모르는 이야기도 많지만, 그들과 얘기하다 보면 내가 하는 연구를 다른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 ...
[체험] 세계수
학자
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1993년 2군으로 한 단계 성장했고, 2007년에는 4군이 되었다. 그리고 2014년에는 세계수
학자
대회가 한국에서 열리는 영광을 거머쥐었다. 이런 사실들을 통해 우리나라는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느꼈다.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오래지 않아 필즈상을 받을 한국인이 탄생할 수 있을 것 ... ...
아프리카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왜 말라리아를 두려워하지 않을까?핀란드의 인류
학자
이자 유니세프 활동가인 로니알라(Annika Launiala)는 아프리카 말라위에서 말라리아 퇴치 운동을 하다가 다음과 같은 의문에 봉착했어요. ‘말라리아의 위험에 가장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이 왜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짧은 치마를 입거나 화장을 하거나 담배를 펴 보고 싶은 생각이 들 수 있다. 미국 심리
학자
로버트 앱슈타인 박사는 이미 스스로를 다 컸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을 어른들이 어린아이 취급하기 때문에, 반항하고 싶어한다고 주장했다.학교폭력이 점점 늘고 있다?전문가들은 학교폭력이 늘어나는 ... ...
[뉴스 포커스] 세계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한국에 모인 이유는?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서울 2014에서는 지난 2010년 인도에서 열린 세계수
학자
대회에서 필즈상을 받은 프랑스 수
학자
세드릭 빌라니의 기조강연이 가장 눈길을 끌었다. 빌라니 교수는 얼마나 다양한 분야에서 수학을 발견할 수 있는지를 건축과 패션, 음악 등 흥미로운 자료들을 이용해서 소개했다.“우리가 사용하는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밝혀지면서 프로그래밍의 안전성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른 것이다. 이에 컴퓨터 과
학자
들은 차량 급발진 문제는 물론, 의료 장비 시스템 오류 검사 등 소프트웨어 안전성 분야에 도움이 될 만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코딩을 배우자!미래의 필수언어라고 불리는 코드가 지구촌 구석구석에서 이슈가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과학은 딱딱한 설명과 어려운 수식으로 된 분야일까. ‘과학동아’ 독자라면 아름다운 일러스트와 알기 쉬운 인포그래픽을 접하고 “아 ...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
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