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붙어 있어요." 미간을 살짝 찌푸리며 눈앞에 밤하늘을 상상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천문학자다. 1969년 인간은 달에 발을 디딘다. 박테리아는 그로부터 8년이 지나서야 개수를 셀 수 있게 됐다. 밤하늘 은하수의 별들에는 하나하나 이름이 붙어있지만, 박테리아는 아직도 태반이 이름이 없다. ... ...
- [life & tech] 술게임 과학적으로 놀아보자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언제까지 어깨춤만 출 것인가! 언제까지 ‘아이 앰 그라운드’만 외칠 건가! 이제 술게임도 과학적으로 즐겨보자. 재미없다고 놀림 받을 걱정은 That’s No No! 직접 체험해 본 기자의 생생한 후기가 꿀잼을 보장한다! 이 글만 읽는다면 당신은 이미 술게임계의만유인력이자 이중나선, Turn up~.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쉽고 흥미로운 내용만 골라 엮은 책, 매끄럽게 다듬어져 술술 읽히는 책, 저명한 과학자의 심오하고 난해한 책 등 이것저것 고를 것 없이 ‘모두 도전하라’고 그는 말한다. 읽다보면 궁금증이 커져 관련 분야의 다른 책을 찾게 되고, 책에서 언급하는 또 다른 책에 손이 가게 마련이다. 책의 단점이나 ... ...
- [특별인터뷰 1] “수학 배워서 뭐 하냐고 묻는 친구들에게 수학동아 소개해 줄래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전하는 ‘수학 전도사’라 해도 될 정도다. 영남이의 장차 꿈은 뭘까? 수학자? 또는 암호학자? 하지만 예상 밖의 대답이 돌아왔다.“항공우주기술에 관련된 일을 하고 싶어요. 수학동아 독자 탐방으로 항공우주센터에 간 적이 있었는데, 그때 항공우주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개념을 구체화하는 직관이 놀랍도록 많이 변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가령 어떤 역사학자들에 의하면 고대 그리스에서는 임의의 수 4개의 곱은 의미 없는 양으로 여겨졌다고 한다. 실수 체계의 개념이 대수적으로 정립되기 전에 수는 ‘길이’의 의미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즉, 수 하나가 길이라면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ㄱ-ㅋ-ㄲ) 음성학적으로 동일한 계열의 글자를 만드는 원리다.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학자 제프리 샘슨은 한글을 기존의 표음문자★와 차원이 다른 문자라고 해서 ‘세계 최초의 자질문자’로 규정했다.표음문자★는 사람이 말하는 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글자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되면) 그 때는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할 의무를 저버리고 주치의에게 연락한다. 컴퓨터과학자 빈센트 비겔은 미국 델프트대에서 공부하던 2007년, 박사학위 논문을 위해 ‘소포랩(SophoLab)’이라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윤리적 판단을 할 수 있는 여러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없으므로 확률이라는 개념이 이상해진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많은 물리학자들이 다세계 해석을 지지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그 지긋지긋한 양자 측정 문제를 간단히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는 그냥 슈뢰딩거 방정식에 따라 유니타리 진행할 뿐이다.얼마나 단순한가! 비록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베이신 사막에서만큼은 생태학자, 분자생물학자, 분석화학자 등 다양한 전공의 과학자들이 매년 함께 어울리고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던 걸까.필자는 자연 그 자체가 주는 매력에 답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는 유독 밤샘 실험이 많아, 밤에 숙소에서 야생담배를 키우는 밭까지 걸어갈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발견된 에렉투스 화석에는 얼굴뼈가 거의 남아 있지 않 아 비교할 수가 없다. 일부 학자들은 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의 얼굴이 남 아 있지 않은 이유가 식인이나 호전적인 공격성 때문이라는 가설을 제시하 지만, 증명된 적은 없다.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수렵인, 그러니까 처음으로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