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된다. 같은 사람이라도 양쪽 눈의 홍채 조직 패턴이 다르다. 입술지문1900년대 한 인류
학자
가 입술의 점막, 가장자리의 땀샘, 주름 등의 특징을 밝혀내 ‘입술지문’이란 표현이 생겼다. 입술지문은 수정란이 분리된 뒤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도 다르다. 지문태아가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침팬지와 고릴라에게는 예방 확률이 100%에 가깝다.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인류생물
학자
인 피터 왈쉬 박사팀은 에볼라바이러스와 생김새가 닮았지만 병을 일으키지 않는 입자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 입자를 맞은 침팬지는 몇 주 후 에볼라바이러스를 공격하는 항체를 만들었다. 미국국립보건원은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
학자
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좋아질 거야. 어느 새 수학을 잘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거고 말이야. 나 박 기자는 수
학자
대회를 계기로 수학이 더 좋아질 것 같아. 친구들도 수학과 친하게 지내 봐~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피를 가진 사람이 전 세계에 10% 정도밖에 안 되지. ABO식 혈액형은 오스트리아의 생물
학자
인 란트슈타이너 박사가 1901년에 발견했어. 물론 1800년대에도 피를 많이 흘린 환자에게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하는 치료법이 쓰이고 있었지만 수혈을 받은 환자 대부분이 목숨을 잃었지. 혈액형의 구분 없이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진단하기 위해서는 냄새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술이 무척 중요해. 그래서 많은 과
학자
들이 다양한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코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전자코는 사람 코와 비슷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냄새를 만드는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후각수용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센서와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의 해를 처음으로 구했다. 1939년 미국의 이론물리
학자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특집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한 천문
학자
는 우리를 ‘초신성의 후예’라고 불렀다.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남긴 물질이 지상 모든 생명체를 이뤘다는 뜻에서다. 하지만 어디 물질만 그럴까. 우리가 쓰는 에너지 치고 별빛과 태양빛에서 오지 않은 게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체제를 넘어 여러 나라가 참여하는 거대과학은 유례가 없어요. 국제정치를 연구하는
학자
들도 놀라고 있어요. 핵융합 춘추전국시대핵융합 연구 역사는 벌써 반세기가 넘어간다. 최근 활발한 연구 시설은 어디에 있을지 지도에 원은 한창 실험 중인 시설이다. 숫자는 개시 연도다. 2020년 - RFNC-VNIIEF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전기분해 핵융합은 사실상 사망 선고를 받은채 막을 내렸다고 본다. 하지만 소수의
학자
들은 여전히 상온핵융합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거품 핵융합(수소 대신 중수소를 쓴 아세톤에 수십nm 크기의 거품을 만들어 주고 고에너지 중성자와 음파를 가해 거품이 붕괴할 때의 압력으로 핵융합을 ... ...
[hot science] 천문
학자
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머피와 과거의 자신에게 의사를 전달한다. 그리고 시계바늘을 중력으로 움직여 훗날 과
학자
가 된 머피에게 양자 중력방정식을 푸는 데 도움이 될 자료를 전달하고, 인류를 구한다. 송 연구원은 “실제로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통과해서 5차원 공간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영화는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