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이 방법은 1981년 미국의 수리심리
학자
아나톨 래퍼포트가 고안했다. 그는 미국의 정치
학자
로버트 액설로드가 개최한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 컴퓨터대회’에 참가했는데, 이때 팃포탯 전략으로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팃포탯에는 중요한 원칙 4가지가 있다. 바로 다음과 같다.➊ 대결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전기분해 핵융합은 사실상 사망 선고를 받은채 막을 내렸다고 본다. 하지만 소수의
학자
들은 여전히 상온핵융합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거품 핵융합(수소 대신 중수소를 쓴 아세톤에 수십nm 크기의 거품을 만들어 주고 고에너지 중성자와 음파를 가해 거품이 붕괴할 때의 압력으로 핵융합을 ... ...
[hot science] 천문
학자
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머피와 과거의 자신에게 의사를 전달한다. 그리고 시계바늘을 중력으로 움직여 훗날 과
학자
가 된 머피에게 양자 중력방정식을 푸는 데 도움이 될 자료를 전달하고, 인류를 구한다. 송 연구원은 “실제로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통과해서 5차원 공간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영화는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언덕만한 수코끼리와 고양이만한 암코끼리가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이런 관계를 일부
학자
들은 ‘유전 상관(genetic correlation)’으로 설명했다. 같은 종의 암컷과 수컷은 대부분의 유전자를 공유하기 때문에 수컷을 크게 하는 유전자는 동시에 암컷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 설명이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통과했는지 관찰하는 순간 입자처럼 행동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런데 이걸 과
학자
의 마음이 전자에 작용했다고 설명하네요? 관찰이라는 행위가 영향을 끼친 건 맞지만, 마음과는 무관합니다. 왜냐하면 마음이 전혀 없는 카메라로 관찰해도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거든요. 카메라에도 마음이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
학자
에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스톡스가 물의 흐름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만든 식이다. 여기에 프랑스의 물리
학자
클로드 루이 나비어가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식을 완성했다.이를 이용해 심장을 최초로 수학적으로 분석한 사람은 미국 뉴욕대 부속 쿠랑 수리과학연구소의 찰스 페스킨 박사다. 페스킨 박사는 1977년 사람의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가능한 최소의 노력으로 손쉽게 물건을 사려고 한다는 이론이다.미국의 저명한 경제
학자
인 레스터 텔서는 최적의 화폐 액면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정수론의 ‘배쳇 문제’를 활용했다. 배쳇 문제는 제한된 범위 안에서 가장 적은 개수로 임의의 총합을 만들 수 있는 체계를 찾는 문제다. 텔서는 이 ... ...
PART2. 핵융합의 원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연구된 것은 아니었다. 같은 시대에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의 많은 과
학자
들은 핵융합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 즉, 핵융합 에너지 연구를 시작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PART2. 핵융합의 원리PART3. 핵융합의 장점과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생기지 않는다. 이처럼 시간과 공간은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다.러시아의 수
학자
민코프스키 또한 시간과 공간을 함께 다뤄야 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민코프스키는 기존의 3차원에 시간을 더해 4차원 시공간 개념을 만들었다. 이를 ‘민코프스키 공간’이라고 한다. 1908년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과학과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모든 현상에는 이유와 원인이 있다’고 믿는 물리
학자
유카와는 ‘과학은 기본적으로 관찰하고 가설을 세운 후 실험으로 실증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실제로 과학에서 가설은 실증을 통해 비로소 진리가 될 수 있다. 수학은 다르다. 사유를 기본으로 하기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