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현 교수는 미래의 수학자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응원의 말을 전했다.“만약 수학자가 되고 싶다면, 일단 누군가로부터 체계적으로 깊이 있는 교육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입시나 선행 학습의 위주가 아닌 호기심이 가는 분야를 제대로 공부하는 거죠. 사실 말이 쉽지, 쉽지 않을 선택일 거예요. ... ...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만든 물리학자 스티븐 울프람을 직접 만난 것이다. 처음 보는 프로그램과 과학자였지만 이민주 학생은 이것저것 열심히 물어봤다. 이 모습이 인상 깊었는지 울프람은 직접 이민주 학생과 친구들을 서울대에서 있었던 자신의 강연에 초대했다.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못 알아들었어요”라고 말하긴 ...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일반인과 소통하는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과학자 스스로가 깊은 성찰을 거듭할 필요가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PART3. ...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오류를 수정해 보자. 그것이 수정중력이론이다.중력이 어딘가로 새어나간다2000년 물리학자 지아 드발리는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 가설 대신 다차원 공간을 이용해서 은하단 크기 이상의 먼거리에서 중력이 약화되는 현상을 설명했다. 필자는 2002년 미국 UC어바인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했다가 ...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네덜란드 라이덴대 생물학과 조세핀 주덴스 박사팀은 120년 전인 1890년대에 독일 고인류학자 외젠 뒤부아가 인도네시아 자바 섬의 5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굴한 민물 홍합 껍질 화석을 연구했다. 이 화석 안에는 뾰족한 물건으로 그은 듯한 길이 1cm의 미세한 선이 있었는데, 마치 톱니 끝처럼 지그재그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위해서는 동물학 학위가 필요하다”고. 이번 연구의 진짜 의의는 바로 빅풋 신봉자와 과학자들을 연결해줬다는 데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에게 얼굴을 드러내지 않았을 뿐, 어둡고 습한 숲 어딘가에 웅크리고 앉아 있을지도 모르는 미확인동물의 존재를 신비동물학이 밝혀내길 기원해 본다 ... ...
- [Fun] 당신이 필요하다, 몹시 절박하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것은 괜찮지만 사기 행위는 절대로 영영 용서받지 못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당신이 과학자로 성공하면 틀림없이 온화한 경쟁자도 냉혹한 경쟁자도 생길 것”이라는 대목에 이르면 그의 화려한 경력 뒤로 얼마나 많은 역경이 있었는지 짐작케 한다.윌슨이 독자들의 가슴에 불어넣는 것은 결국 ... ...
- PART 5. 중력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함께하고 있다. 중력파로 우주의 비밀을 파헤칠 임무는 이제 미래의 물리학자, 천문학자인 여러분의 몫으로 남아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PART3. 우주를 뒤바꾼 ...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한국인도 있다. 시에라리온 현지에서 진료를 보고 백신 개발에도 나섰다. 한국 과학자들의 노력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박멸시킬 수 있을까. 결과가 주목된다(과학동아 2014년 9월호 에볼라 쇼크 특집 참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대사물질을 만드는 것으로 밝혀져 있지만, 도무지 대량으로 배양할 방법이 없어서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포기했을 정도다.바위나 나무에 붙은 사소한 얼룩처럼 보이는 지의류. 하지만 이들은 생태계의 일부로서 수억 년의 세월을 버텨왔다. 척박한 곳에서 언제나 가장 먼저 생명의 싹을 틔웠고, 가장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