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염증이 알츠하이머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설명했다. 아밀로이드 가설은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타우 단백질을 만들고 결국
뇌
세포를 죽인다는 이론이다. 헤네카 교수팀은 과거 연구에서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해 활성화된 인플라마좀이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유발하는 것을 보인 바 있다. 이때 활성화한 인플라마좀이 타우 단백질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글루텐이
뇌
염증, ADHD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우유와 밀가루 음식을 함께 먹으면 우유 속 카제인 단백질과 글루텐이 함께
뇌
에 들어가 신경계를 파괴시킨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유튜브에서만 나오는 얘기이거나 소수 연구자의 주장일뿐 학계에서 인정받을 만큼 확실한 과학적인 근거는 밝혀지지 않았다. 박청 한양대병원 영양팀 ... ...
뇌
오가노이드로 치명적인
뇌
염바이러스 치료 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있을 것"이라며 "추후
뇌
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바이러스 감염질환에 대한 치료방법도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염증저널' 18일자에 실렸다 ... ...
美연구진 "3세 유아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2시간 넘어" WHO 권고기준 2배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유아 47명의
뇌
를 자기공명영상(MRI)장치로 관찰한 결과, 디지털기기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뇌
세포 간 통신이 이뤄지는 백질의 발달이 지연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연구결과를 '미국의사협회지 소아과' 온라인판에 실었다. 백질의 발달이 더디면 그만큼 인지능력 발달이 더뎌질 수 있다. 존 허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
2019.11.26
노이즈캔슬링 시스템을 떠올린다면 ‘피식’ 웃고 넘어가지 않을까. 포유류의
뇌
는 우리 몸이 만들어내는 소음을 줄이는 노이즈캔슬링 시스템을 진화시켰다는 사실이 2017년 밝혀졌다. 쥐가 물을 먹기 위해 꼭지를 핥을 때 나는 소음(그래프의 검은 선)에 대해 노이즈캔슬링이 일어난 연수의 ... ...
"초미세먼지 노출될수록 치매 걸릴 가능성 높다" 美 연구진 원인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추측해왔다"며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뇌
혈관 손상 여부와 관계없이 미세먼지가
뇌
구조를 바꿔 기억력을 떨어뜨리고, 치매를 일으킬 위험이 있음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브레인' 20일자에 실렸다 ... ...
'
뇌
출혈 영상, AI가 판독'…SK C&C-아주대의료원 공동연구 협약
연합뉴스
l
2019.11.26
것"이라고 말했다. SK C&C 윤동준 헬스케어 그룹장은 "
뇌
출혈 영상 판독을 시작으로
뇌
질환 중심 AI·빅데이터 기술 적용을 통해 국내 AI 의료 서비스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
2019.11.23
태교만 잘하고 출생 이후에는 나 몰라라 하면 곤란하다. 어떤 의미에서
뇌
발달을 위한 태교는 첫 돌이 지난 이후까지라고 할 수 있다. 아기의 머리뼈가 서로 겹쳐지는 기이한 적응과 더불어, 어머니의 골반도 믿을 수 없는 적응적 능력을 보여준다 ... ...
[과학게시판] 2019 나노융합성과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1.22
저자인 빔 반하버베케 영국 서레이대 교수와 TV 프로그램 ‘알쓸신잡’에 출연했었던
뇌
과학자 장동선 박사 등 국내외 전문가들의 특강도 마련됐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17일(현지시간)부터 6일간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서 열린 ‘슈퍼컴퓨팅 콘퍼런스(SC2019)’에 참가했다. SC2019는 ... ...
신경 발생 분야 국내외 석학 DGIST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원리를 이해하고, 관련 기초 과학 연구 기여 방향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DGIST가
뇌
인지 분야에서 인재양성과 연구 허브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행사에 대한 문의는 대학원팀(053-785-6922)으로 하면 된다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