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녀 탄생, 6년 다이어트의 결과
2016.11.23
미디어에 올린 것이다. 위 사진 왼쪽은 2010년에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 당시 체중은 95kg.
오른쪽
은 최근의 모습이다. 체중은 72kg이다. 엘 윌리엄슨의 키는 182cm이다. 천문학적(?)으로 많이 감량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전혀 달라 보인다. 본인은 이렇게 말한다. 지방은 잃고 자신감은 얻었다고. 호주의 ... ...
치매 원인물질 두 종류 한 번에 치료한다
2016.11.21
응집된 형태로 존재한다. 연구진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을 쥐에게 투약한 3개월 후(
오른쪽
) 뇌 속 응집체가 거의 사라진 것을 볼 수 있다. - KIST 제공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병’으로 불리지만 아직 치료법이 없다. 과학적 원인은 밝혀졌지만 이를 개선하는 약물이 ... ...
공기 속 ‘초미세 바이러스’ 찾아내는 법 알아냈다
2016.11.21
연구를 이끈 장재성 교수(가운데)와 홍성결 연구원(왼쪽)과 한창호 연구원(
오른쪽
) - UNIST 제공 공기 중에 떠도는 초미세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바이오 테러 방지나 고효율 공기청정기 개발 등 여러 산업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재성 ... ...
줄기세포 주사와 줄기세포 성형 어떤 점이 다를까
2016.11.20
일부 질병에서만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이 체세포 배아줄기세포 제작과정,
오른쪽
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제작과정.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2. 성체줄기세포 치료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줄기세포 주사가 바로 이 ‘성체줄기세포 치료제’일 가능성이 크다. 성체줄기세포는 ... ...
싱가폴, 스타트업에게 기회의 땅이 될까
2016.11.20
힘을 체감했다는 반응이다. 싱잇 김단열 이사(왼쪽)과 셰어앤케어의 황성진 대표(
오른쪽
) - 최호섭 제공 “장기적으로는 싱가폴에 법인을 내고 동남아시아 시장에 진출하는 게 목적입니다. 그래서 싱가폴이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 여기 와서 만난 모든 사람들이 K컬처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 ...
좁은 골목길 누비는 자율주행차 ‘스누버2’ 직접 타보니
2016.11.16
여유 있게 통과했다. 반대편 차가 중앙선을 침범하자 스누버2는 속도를 늦추고 차로의
오른쪽
으로 붙어 주행하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 앞차가 주차를 하기 위해 후진을 시작하자 제자리에 멈춰 기다리기도 했다. 교내 순환버스가 정류장에서 한참을 서 있자 추월해 가기도 했다. 서울대 ... ...
올해 역사 속 과학기술인은 신라시대 불국사 건축자 김대성
2016.11.16
통일신라시대 사람인 김대성(왼쪽)과 염영하 전 서울대 명예교수(
오른쪽
)는 2016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 동아DB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016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 대상자로 불국사와 석굴암을 만든 김대성(700~774)과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 ...
페인트만 발라두면 열이 전기로 바뀐다
2016.11.15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이끈 손재성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오른쪽
)와 제1 저자인 박성훈 연구원(왼쪽)의 모습.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사실을 발견했다. 가운데 27살짜리 보노보의 털 고르기 거리(빨간 양화살표)보다
오른쪽
45살짜리 보노보의 털 고르기 거리가 훨씬 멀다.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 보노보도 40대 되면 눈이 침침해져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1월 7일자에는 사람에게 노안이 오는 시기가 유인원 공통조상이후 ... ...
동물병원에서 예방접종을 너무 많이 권합니다. 전부 다 해야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1.13
개가 아프지 않을 때(왼쪽)과 아플 때(
오른쪽
)는 이 정도로 활동량이 차이가 납니다.
오른쪽
은 지난 여름 개도 안 걸린다는 여름감기에 걸렸을 때지요. -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다행히 예방약은 있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2015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물질, ‘아버멕틴’을 원료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