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①]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와 美 대통령동아사이언스 l2016.10.20
- UCLA 캠퍼스 중앙에는 UCLA 스포츠팀을 상징하는 곰(Bruins) 동상이 있습니다. 이 곰의 오른쪽 발을 만지면 행운이 따른다는 얘기가 있다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위로 살짝 치켜 든 발뒤꿈치가 닳아서 반들반들 합니다. 미국 메이저리그의 첫 흑인 선수인 재키 로빈슨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건물. 숫자 ... ...
-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구글이 ‘팩트’를 검증하는 방법2016.10.19
-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또한 사람이 아닌 컴퓨터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수행한다. 그림 오른쪽의 화살표 두 개로 만들어진 아이콘을 클릭하면 더 많은 기사들을 볼 수 있다. 컴퓨터 알고리즘이 뉴스의 심층성을 판단하고, 의견 기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풍자 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취재 ... ...
-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6.10.19
-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에 희생된 여성(왼쪽)과 남성 성인(오른쪽)의 유골. 연구팀은 여성 유골의 셋째 어금니(화살표)에서 비교적 잘 보존된 6세기 페스트균의 유전자를 얻었다. 유골 주변에는 이들이 당시 사용했던 물건이 있다. - State collection of Anthropology and palaeoanatomy Munich 제공 6세기부터 8세기 ... ...
- 취업에 유리한 얼굴은? 2016.10.19
- 한쪽은 갸름한 얼굴이고 오른쪽은 살이 조금 오른 모습입니다. 신체질량지수 BMI에서는 오른쪽 여성도 건강한 범위에 속합니다. 결론은 왼쪽 여성이 취업 확률이 훨씬 높았다는 것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남성의 경우에는 이런 차별이 약했다는 점입니다. 얼굴이 통통하건 아니건 남성에게는 큰 ... ...
- ‘파동’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신물질 찾았다2016.10.18
- 매질 내에서 질서 있게 전달되는 파동의 모습(왼쪽)과 무질서하게 전달되는 파동의 모습(오른쪽). - 서울대 제공 멀리서 부르는 친구의 목소리가 들리는 이유는 공기가 소리의 에너지를 전달해 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공기처럼 에너지를 전달하는 물질을 매질이라고 한다. 박남규 서울대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C4 광합성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할 해치, 맨 오른쪽이 로저 슬랙이다. - C4 광합성 컨퍼런스 제공 ● 벼의 변신 가능할까? 열대식물이라고 다 C4 식물인 건 아니다. 대표적인 예가 벼로 여전히 C3 광합성을 하고 있다. 그런데 소위 ‘잡초’는 대부분 C4 ... ...
-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 많게 진화과학동아 l2016.10.17
- 아프리카누스, 두 번째 사진은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목 동맥 흔적. 오른쪽 사진은 두개골을 뒤집어 놓은 모습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목 동맥이다. -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제공 인류가 뇌의 크기보다 혈류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호주 아델레이드대 ... ...
- 지면과 충돌 직전의 여객기 ‘포착’ 2016.10.16
- 공항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했다. 그런데 순간 강한 옆바람(측풍)이 분다. 여객기가 오른쪽으로 기우뚱하며 날개가 지면에 닿을 지경이 되었다. 곧이어 여객기가 왼쪽으로 기울었다. 이번에는 왼쪽 날개가 활주로에 충돌해 파손될 아찔한 위기의 순간이다. 다행히 여객기는 다시 고도를 높이는 데 ... ...
- 2014년 한국 조류인플루엔자 세계 확산 주범은 ‘야생 철새’2016.10.14
- 직후인 2014년 4월경, 가운데는 일본과 유럽으로 야생 조류가 이동해 간 2014년 8월경, 오른쪽은 북아메리카 대륙까지 AI가 확산된 2014년 11월경이다. 빨간색 점은 농장에서 키우는 닭, 녹색 점은 농장에서 키우는 오리, 파란색 점은 장거리 이주 야생 조류, 보라색 점은 단거리 이주 야생 조류를 나타낸다 ... ...
-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기계의 독해법 vs 사람의 독해법, 차이점은?2016.10.13
- 찍지 않은 것이다. 2005년에도 카메라폰은 있었다. 힐러리 클린턴 유세 현장을 촬영한 오른쪽 이미지에도 숨은 맥락이 있다. 셀피 문화를 상징하는 이미지가 아니라, 셀피 문화를 활용한 클린턴의 캠페인 전략이라는 맥락이 누락돼 있다. 클린턴이 “누구라도 셀피를 원하시는 분은 지금 등을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