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용자의 기록을 숨기지 못하도록 관리해야 하지요.힌편, 김승주 고려
대학
교 정보보호
대학
원 교수는 “지금까지 은행 직원이 얼굴을 직접 확인하고 발급하는 ‘대면’ 인증서만 써왔는데, 앞으로는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비대면으로 발급한 인증서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라고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탄생하지요.이처럼 번거로운 작업을 쉽게 할 수는 없을까요? 지난해 7월 미국 워싱턴
대학
교와 페이스북 공동연구팀은 정지 사진에서 사람이나 캐릭터만 움직여 자동으로 움짤을 만드는 기술을 발표했어요. 사진 속 인물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포토 웨이크업(Photo Wake-Up)’이라고 이름을 지은 이 ... ...
[포토뉴스] ‘왕좌의 게임’ 예측 불허 전개, 수학은 알았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끌었습니다.전세계에 걸쳐 인기를 끈 왕좌의 게임의 비결을 파헤치기 위해 영국 코벤트리
대학
교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왕좌의 게임의 원작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를 데이터 과학과 네트워크 이론으로 분석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1월 2일자에 공개했습니다. 연구팀은 원작 ... ...
[수학뉴스] 코로나19 검사 비용 줄이는 방법은?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코로나19 진단 검사 대비 약 20배 저렴한 검사법을 개발했습니다.닐 투록 영국 에든버러
대학
교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한 알고리듬을 코로나19 진단 검사에 도입했습니다. 이 방법은 검사할 표본을 여러 집단으로 나눈 뒤 각 집단의 검체를 한꺼번에 섞어 검사하고 ... ...
[수학뉴스] 꿀잠 방해 원인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이주곤 미국 플로리다주립
대학
교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비만’이 수면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밝혔습니다.2017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은 인간의 생체시계가 하루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이유가 ‘PER 단백질’이 매일 일정한 시간에 세포핵 안으로 들어가 2 ... ...
[교육뉴스] 중고등학교 수학 성적, 선생님 태도에 큰 영향 받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수학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다니엘 에반스 영국 서섹스
대학
교 심리학과 교수팀은 영국 남서부 지역에서 태어난 6490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초중고를 다니는 동안의 수학 성적을 추적 조사했습니다. 또 교우 관계와 학교 시설 등을 전반적으로 의미하는 ‘학교 환경’과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연구하고 있는 분은 독일 수학자 크리스토퍼 폴 교수인데, 저와 함께 독일 빌레펠트
대학
교에서 같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미 둘이서 논문을 두 편이나 같이 작업했으니 우애 좋은 형제라고 볼 수 있겠죠? 실제로 저에겐 항상 의지가 되는 믿음직한 큰형입니다. 드 사토이 교수님이 수학 아버지라면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라인하르트 겐첼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연구소장, 앤드리아 게즈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교 로스앤젤레스(UCLA) 천체물리학과 교수입니다. 이들은 각각 수학과 관측이라는 방법을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증명했습니다. 펜로즈 교수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위상수학’의 ... ...
[게임 디자인 씽킹] 적의 움직임을 정의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키운 중학생이 있었습니다. 그는 포스텍(POSTECH)에 진학해 화학도의 길을 걸었죠. 그런데
대학
원 졸업을 앞두고 진로를 고민할 무렵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준비했던 작품이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 공모전에 덜컥 당선된 겁니다. 그 작품은 바로 우리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진 SF 작품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