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결정했습니다. 수학계는 논문 출판 과정에 모치즈키 교수가 관여하지 않았어도 소속 대학 주도로 검증한 것을 인정할 수 없다며,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ABC추측은 1 이외의 공약수가 없는 서로소인 A, B, C가 A+B=C의 관계를 만족할 때 세 수의 소인수의 곱에 0에 가까운 작은 양수를 더한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남용운.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책임연구원으로 핵융합 플라스마의 상태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진단장치를 연구하고 있다. yunam@kfe.re ... ...
- [미국유학일기] 오픈북 기말고사 시간, 장소는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않고, 대학교를 졸업하는 데도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미국 대학은 한국 대학처럼 전공별 수업과 교양과목 수업을 일정 수준 이상 들어야 졸업할 수 있다. 졸업을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하는 최저 성적도 있지만, 최저 성적 맞추기는 쉽다. 그래서 나는 좋은 점수를 받는 것보다 각 과목에서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용자의 기록을 숨기지 못하도록 관리해야 하지요.힌편,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지금까지 은행 직원이 얼굴을 직접 확인하고 발급하는 ‘대면’ 인증서만 써왔는데, 앞으로는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비대면으로 발급한 인증서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라고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하고 있는 분은 독일 수학자 크리스토퍼 폴 교수인데, 저와 함께 독일 빌레펠트대학교에서 같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미 둘이서 논문을 두 편이나 같이 작업했으니 우애 좋은 형제라고 볼 수 있겠죠? 실제로 저에겐 항상 의지가 되는 믿음직한 큰형입니다. 드 사토이 교수님이 수학 아버지라면 ... ...
- [이달의 수학자] 수학의 다양화를 꿈꾸는 질 피퍼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쌓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1955년 12월 14일에 태어난 피퍼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엔젤레스(UCLA) 수학과에서 1979년 학사학위, 6년 뒤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1989년부터는 브라운대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죠. 피퍼 교수는 주로 격자암호를 연구합니다. 격자암호는 높은 차원의 ...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바랍니다. 해외 생활, 어려워 보여도 막상 또 해 보면 별거 아닙니다. 파이팅!" 독일의 대학은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ECTS·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을 따른다. 학점은 ‘CP(Credit Point)’ 또는 ‘LP(Leistungspunkte)’라 불린다. 학사 졸업에 필요한 ...
- [과학뉴스] 모기 능력 본뜬 드론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않는 어둠 속에서도 우리를 괴롭히는 모기! 지난 5월 4일, 영국 왕립수의대학교 리처드 범프리 교수팀은 모기처럼 공기의 흐름을 감지해 어두운 곳에서도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드론을 개발했어요. 모기가 어둠 속에서도 마음껏 날 수 있는 비결은 더듬이 아래에 있는 ‘존스턴 기관’ 덕분이에요. ... ...
- 푸느냐 못 푸느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 난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교수),방석호(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박성영(한국교통대학교 화공신소재고분자공학부 교수),장영목(Georgia Tech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교수),정근재(Georgia Tech School of Biological Sciences 박사후 연구원 ...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4개 아이디어를 선정했지요. 여러 난제들 중 어과동의 관심을 끈 첫 번째 난제는 포항공과대학교 박주홍 교수가 발표한 ‘미래의 로봇은 어떤 모양일까?’였어요.현재의 로봇은 구조적으로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어요. 첫 번째는 ‘크기를 키우는 게 어렵다’는 점이에요. 크기가 커지면 로봇이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